금융당국의 두 수장이 20일 동시에 은행의 고배당에 강력 경고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기업경영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배당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우리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의 기업은행 방문을 수행하고 나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감사협회 조찬 강연에서 “금융회사 감독·검사에서 준법·윤리경영 추진상황을 중점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석동 금융위원장(왼쪽)·권혁세 금감원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석동 금융위원장(왼쪽)·권혁세 금감원장
저축은행 같은 핫 이슈에 대해 김석동 위원장이 입을 열 때도 권혁세 원장은 입을 다무는 식으로 역할분담을 해왔다. 그런 두 수장이 은행의 고배당에 대해 동시에 입을 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은행권은 올해를 기점으로 금융위기 이후 위축됐던 배당을 확대하려는 추세다. 하나금융은 이날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주당 300원, 총 723억 893만원의 중간배당을 단행했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은 최근 “중장기적으로 배당금액이 은행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아야 한다.”며 배당 확대를 시사했다. 어윤대 KB금융 회장도 “자사주 매각으로 인한 현금 1조 8000억원으로 고금리 후순위채 1조 1800억원을 갚은 뒤에도 현금이 쌓여 있으면 주주들이 배당을 요구할 것”이라며 고배당이 불가피함을 강조했다.
은행의 배당이 증권사 등에 비해 높지 않은데도 두 수장의 경고는 외환은행의 고배당 강행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은 래리 클라인 외환은행장을 불러 고배당 자제를 당부했지만 먹히지 않아 금융당국의 자존심이 무척 상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외환은행 대주주인 론스타가 지난해 68.5%에 이르는 배당 성향을 보이는 등 은행 내부에 유보해둬야 할 자금이 배당을 통해 빠져나가는 게 아닌지 주목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배당 성향이 68.5%에 이른다는 말은 당기순이익 가운데 68.5%를 대주주들이 배당을 통해 나눠가졌다는 뜻이다. 지난해 금융지주사들의 배당 성향은 대부분 14~25%대를 기록했다. 은행권 배당 성향은 경기와 영업이익에 따라 큰 폭의 편차를 보여 2006년 KB금융의 전신인 국민은행이 49.7%의 배당 성향을 보이는가 하면,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우리금융은 무배당 정책을 폈다.
두 금융수장의 경고에 은행들은 잔뜩 긴장하는 눈치다. 은행권은 이날 서민용 저금리 대출상품인 새희망홀씨 공급한도를 올해 총 1조원에서 1조 2000억원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은행연합회는 이 상품 지원을 위해 영업점 성과평가지표에 새희망홀씨 실적을 포함해 은행 경영실태평가 때 반영해 줄 것을 당국에 요청했다. 은행이 영업이익분을 새희망홀씨 지원에 소진하면 배당을 위해 남는 금액은 그만큼 줄어들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은행들의 배당 수준이 과배당이라고 단정짓지는 않았지만, 이번 기회에 은행이 배당보다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수수료는 영업유지 비용을 충당할 정도에 그쳐야 하는데, 국내 은행은 이를 수익기반으로 쓰고 있다. 서민 대출의 경우에도 이자 수준이 약탈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렇게 벌어들인 영업이익을 배당으로 소진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홍희경·오달란기자 saloo@seoul.co.kr
2011-07-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