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CEO 집값 평균 9억원…강남에 집중

10대그룹 CEO 집값 평균 9억원…강남에 집중

입력 2013-11-18 00:00
수정 2013-11-18 07: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10대 그룹 계열사 대표이사(CEO)들의 보유주택 가격은 평균 9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주택은 서울 강남권에 집중돼 있었다.

18일 재벌닷컴이 10대 그룹 CEO 주택가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공시가격 기준으로 분석 대상 479명의 평균 주택가격은 8억5천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오너를 제외한 전문경영인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주택을 여러 채 보유한 경우는 합산해 계산했다. 보유주택 주소지 미상자는 제외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 CEO들의 평균 주택가격이 11억4천2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삼성그룹 CEO들의 주택은 73명 중 63명(86.3%)이 서울 강남권에 있었다. 강북과 기타 지역은 각각 4명, 6명이었다.

현대차그룹 CEO들의 평균 주택가격은 8억9천100만원이었다. 주택 소재지는 서울 강남(19명), 강북(13명), 인천·경기(14명) 등으로 나타났다.

SK와 LG는 각각 8억3천400만원, 8억7천500만원으로 조사됐다. 그 외 롯데, 현대중공업, GS, 한진, 한화, 두산그룹 CEO들의 보유주택은 평균 7억원대였다.

10대 그룹 CEO 전체로는 조사 대상 479명 가운데 41.5%에 해당하는 199명이 서울 강남권에 주택을 보유했다.

이어 서울 강북이 149명(31.1%)이었으며 인천·경기가 91명(19.0%), 기타 지역이 40명(8.6%)이었다.

조사 대상자 중 보유주택 가격 합계가 70억원에 달하는 CEO도 있었다.

김 모 S사 사장은 서울 강남구 도곡동 등지의 보유 주택가격이 모두 69억2천900만원이었다.

최 모 S사 부회장은 강남구 도곡동 등에 있는 주택가격이 44억2천500만원 규모였으며 박 모 J사 대표이사는 강남구 청담동 소재 주택 공시가격이 38억1천600만원으로 나타났다.

그 외 정 모 S사 부회장의 성남시 수정구 대흥동 외 주택이 모두 35억4천400만원, 박 모 S사 대표이사의 강남구 청담동 주택이 25억3천600만원으로 조사됐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공시가격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로 실제 시세는 이보다 훨씬 더 높다”며 “10대 그룹 중에서도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 CEO의 주택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의 지난 4월 말 발표에 따르면 공시대상 공동주택 가운데 90.1%(984만9천424가구)가 3억원 이하였고 9억원 초과 고가주택은 0.8%(5만2천180가구)였다.

서울시가 단독주택 36만 가구에 대한 공시가격을 조사한 결과로는 9억원 초과 주택 비중은 2.7%였다.

연합뉴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