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등 정부 경기부양책 영향 커…내년 2분기이후 자금이탈 가능성

1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투자은행(IB)들은 미 연준이 내년 2분기부터 정책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도이체방크와 바클레이즈는 최근 연준의 금리 인상 예상 시점을 내년 3분기에서 2분기로 앞당겼다. 스탠다드차타드도 내년 2분기에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2016년 1분기에서 내년 3분기로 인상 전망 시점을 2분기나 앞당겼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지난 2주일 동안 신흥국 주식형 펀드에 91억 달러가 순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월별로는 4개월 연속 순증이다. 지난 4월 76억 달러, 5월 13억 달러, 6월 48억 달러, 지난달 81억 달러가 순유입됐다. 반면 선진국 펀드에서는 141억 달러가 빠져나갔다. 특히 미국(-135억 달러)과 서유럽 펀드(-32억 달러)에서 자금 이탈이 두드러졌다. 여러 위험에도 불구하고 신흥국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한국 등 아시아 주요국이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꼽힌다. 김병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시아 주요국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되더라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크지 않은 데다 정부의 경제 정책이 선진국 자금 유입에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4-08-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