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산업부 장관 누가 믿고 따를까

[비즈 in 비즈] 산업부 장관 누가 믿고 따를까

입력 2014-10-21 00:00
수정 2014-10-21 14: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감서 후배 공무원에 책임 전가, 리더십 흔들… 타 부처도 비난

세종 강주리 기자
세종 강주리 기자
“장관님 정말 너무하십니다.”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 ‘산하기관 국감 자료 사전 검열 논란’에 대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해명을 지켜보던 세종시 공무원들의 입에서는 탄식이 흘러나왔습니다.

윤 장관은 지난달 22일 산업부가 이메일을 통해 산하기관이 국감 자료를 국회에 제출할 때 산업부에 확인을 받으라는 내용이 담긴 ‘장관님 지시 사항: 의원 요구 자료 처리 지침’을 보낸 데 대해 자신의 무죄를 거듭 주장했습니다. 윤 장관은 “저는 해외 출장 중에 지시를 내린 적이 없고 임용된 지 몇 년 안 된 신임 사무관이 자의적으로 이메일을 보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국회방송으로 국감 현장을 지켜보던 일부 공무원들은 고개를 내저었고 “우리 부처 장관이 맞느냐”는 격앙된 목소리도 터져 나왔습니다. “아무리 사무관, 주무관이 잘못해도 그렇지, 어떻게 직원이 한 일을 장관이 나 몰라라 할 수 있어?”라는 볼멘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주동자로 찍힌 해당 공무원은 펑펑 눈물을 쏟았다는 전언입니다. 비단 산업부 공무원들만 침통한 게 아니었습니다. 다른 부처 공무원들도 뒷담화에 가세했습니다.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혀를 찼습니다. 일각에서는 장관이 후배 공무원을 탓하고 있을 때 지각 있는 실장급 고위 공무원 누구라도 나서서 책임지는 자세를 보였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비아냥까지 나옵니다. ‘충성도 제로’, 다들 몸사리기에 바쁜 산업부라는 지적입니다.

산업부 장관은 1200여명의 공무원이 몸담고 있는 한 경제부처의 수장이자 수백만개의 기업 및 산업계 전반의 제도와 규율을 다루는 산업계 수장입니다. 그만큼 장관의 말은 신중해야 하고 무한한 책임감이 있어야 하며 상식에도 부합해야 합니다. 백보 양보해 윤 장관은 억울할 수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공개 석상에서 한참 어린 후배 직원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모습은 진정한 리더의 모습이 아닙니다. 조직에 대한 애정과 충성도는 리더가 위기 때 스스로 몸을 낮추고 살신성인의 자세를 보일 때 나오는 것임을 윤 장관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