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5일 토러스투자증권은 ‘유통업! 왜 면세점에 열광하는가’라는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현대백화점을 비롯해 신세계, HDC신라, 롯데호텔 등 시내 면세점 입찰 후보자 기업들을 항목별로 평가해 줄을 세운 보고서죠. 그런데 현대백화점이 ‘불명예스럽게도’ 7개 평가 대상(입찰기업) 기업 중 꼴찌를 한 게 화근이 됐습니다.
현대백화점의 A부사장은 토러스증권에 전화를 걸어 “보고서를 홈페이지에서 내리라”고 요구하며 펄쩍 뛰었죠. ‘면세점 대첩’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내로라하는 유통 명가들이 사활을 걸고 매달리고 있는 시점인지라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현대백화점 측은 “(토러스) 보고서가 주관적인 잣대로 점수를 매겼기 때문에 객관성과 공정성에 위배된다”며 “어떤 기준으로 등급을 매겼는지 따져 물은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애널리스트에 대한 부당한 외압이 아니라는 항변입니다.
토러스 측은 “객관적으로 평가했다”고 반박합니다. 증권가 여론은 토러스 측에 기울고 있습니다. 현대백화점이 전에도 고압적 태도를 여러 번 보였기 때문입니다. 조금이라도 불리한 보고서가 나오면 득달같이 애널리스트에게 항의 전화를 건다고 합니다. 현대백화점이 국내 증권사를 “홍보용으로 본다”는 냉소도 나옵니다. 게다가 외국계 증권사에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게 증권가의 얘기입니다.
지난 5월 프랑스의 CLSA증권사도 토러스와 비슷한 관점의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그런데 현대백화점은 조용히 넘어갔습니다. 현대백화점 측은 “외국 증권사가 작성한 보고서까지 따져 물을 수는 없지 않으냐”고 해명합니다. 국내 증권사만 만만하게 본다는 불만이 나올 법도 합니다. 애널리스트 분석에 기업이 압력을 행사한다는 논란은 어제오늘 얘기가 아닙니다. 반대로 증권사들이 객관적이고 투명하지 못한 보고서로 시장을 흐려 놓는 일도 종종 있습니다. 마침 금융감독원이 진상 파악에 나섰다고 합니다. 철저한 조사와 대응을 통해 해묵은 관행이 바뀌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6-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