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연은 이렇습니다. 이 행장은 최근 임원들에게 “증권사 빈자리를 채울 방안(증권사 인수 포함)을 검토해 보라”고 지시했습니다. 지난해 민영화 과정에서 우리금융그룹이 해체되며 우리투자증권은 농협금융지주에 팔렸습니다. 이른바 ‘잘나가는’ 계열사였던 우리투자증권을 경쟁사에 ‘시집’보내 버렸으니 아쉬움이 클 수밖에 없는 것도 인지상정입니다. 은행 창구에선 카드, 보험, 펀드 등을 팔고 수수료를 받습니다. 특히 같은 계열사 상품을 팔면 수수료도 챙기고 연결 순익도 증가하는 ‘일석이조’ 효과가 있죠. 이 행장이 증권사의 ‘빈자리’를 크게 느끼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올해는 국민·신한·하나 등 주요 은행들의 ‘새내기’ 행장들의 각축장입니다. 실적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혈혈단신’ 처지가 된 우리은행 입장에선 펀드를 아무리 팔아도 ‘죽 쒀서 남(경쟁사) 좋은 일만 시킨다’는 불만을 느낄 수밖에 없죠. 계열 증권사와 보험, 은행이 결합된 복합금융점포를 속속 내놓고 있는 다른 금융지주사를 보면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마음이 아무리 굴뚝 같아도 선뜻 증권사 인수에 나설 수도 없는 처지입니다. 민영화를 마무리하기 전까진 섣불리 몸집을 키울 수 없어서입니다. 지난해 증권사와 보험, 저축은행을 묶어 패키지 매각을 결정했던 정부(예금보험공사)의 입장과도 배치됩니다. 은행 내부에서 “증권사 인수는 민영화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라는 아쉬움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죠. 이 행장도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몸집이 작아졌다고 우리은행이 그동안 보여 준 저력까지 줄어든 것은 아닙니다. 지난 10여년 동안 발목에 ‘모래주머니’(경영정상화 이행 약정)를 차고도 다른 은행과 어깨를 나란히 겨뤄 왔으니까요. 이 행장이 여러 한계 속에서도 ‘작지만 강한 은행’으로 자리매김할지 계속 지켜볼 일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8-0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