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코스피200지수 사용료 기준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28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거래소는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파생상품을 발행하는 증권사에 사용료 부과 기준을 현 정액제에서 발행 파생상품 규모에 비례해 책정하는 정률제로 변경하겠다는 방침을 최근 업계에 전달했다.
증권사들은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주가연계증권(ELS), 주식워런트증권(ELW), 상장지수증권(ETN) 등의 파생상품을 발행하고 있다.
거래소는 “증권사별로 3천만∼6천만원의 정액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는데, 기관 간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과 해외 지수 사용료의 10분의 1에 불과한 가격 등을 고려해 사용료 기준 변경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새 사용료 기준을 적용 시 사용료 부담이 커지는 대형 증권사 등이 반발하고 있다.
거래소는 “아직 확정된 사안이 아니므로 증권사와 협의를 마친 뒤 시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8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거래소는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파생상품을 발행하는 증권사에 사용료 부과 기준을 현 정액제에서 발행 파생상품 규모에 비례해 책정하는 정률제로 변경하겠다는 방침을 최근 업계에 전달했다.
증권사들은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주가연계증권(ELS), 주식워런트증권(ELW), 상장지수증권(ETN) 등의 파생상품을 발행하고 있다.
거래소는 “증권사별로 3천만∼6천만원의 정액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는데, 기관 간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과 해외 지수 사용료의 10분의 1에 불과한 가격 등을 고려해 사용료 기준 변경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새 사용료 기준을 적용 시 사용료 부담이 커지는 대형 증권사 등이 반발하고 있다.
거래소는 “아직 확정된 사안이 아니므로 증권사와 협의를 마친 뒤 시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