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비강남 주택시장 ‘온도차’…서울에서도 탈동조화

강남-비강남 주택시장 ‘온도차’…서울에서도 탈동조화

입력 2016-06-16 11:26
수정 2016-06-16 17: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남은 재건축 호재로 초강세 vs 비강남은 금리 인하에도 ‘시큰둥’

아파트 사진
아파트 사진
수도권 집값은 오르고 지방은 떨어지는 ‘탈동조화(디커플링)’ 현상이 뚜렷해진 가운데 같은 서울과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9일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하면서 설설 끓고 있는 재건축 단지에는 호재가 된 반면, 비강남권의 일반 아파트들은 “아직 온기가 느껴지지 않는다”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과거엔 “강남이 뛰면 나머지 지역도 다 오른다”는 ‘온돌효과’가 뚜렷했지만 요즘엔 ‘강남 따로, 비강남권 따로’가 굳어지는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여전히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음달 초 분양 예정인 강남구 개포 주공3단지의 재건축 조합이 일반 분양가를 3.3㎡당 4천500만원, 최고 5천만원 이상에 책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송파 잠실, 강동 둔촌, 서초 반포 등지 다른 재건축 단지들도 단기간에 시세가 한두 달 새 1억원 이상 오른 가격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바로 옆 단지의 일반 아파트들도 재건축 영향으로 집주인이 부르는 호가가 들썩인다. 금리 인하 호재는 이런 상승세를 부채질했다..

이에 비해 같은 서울이지만 비강남권은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조용한 곳이 많다.

강북구 수유동의 S공인 대표는 “금리인하 발표 전후로 매수 문의가 늘거나 호가가 상승하거나 그런 움직임은 전혀 없다. 오히려 최근 부동산 시장이 계절적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매매 문의도 뜸하고 가격도 제자리걸음”이라고 말했다.

서민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북에선 2월부터 시행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매수세가 위축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만3천94건으로 작년 대비 16.5% 감소했지만 강남 3구는 거래량이 늘었다.

개포 등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한 달에 단지별로 수십건씩의 거래가 이뤄진 때문이다.

┌──────────────────────────┐

│서울 주요 구별 아파트 거래량 (단위:가구) │

├──────┬──────┬──────┬─────┤

│지역 │2015년 5월 │2016년 5월 │증감폭(%) │

├──────┼──────┼──────┼─────┤

│서울 전체 │15,673 │13,094 │-16.46 │

├──────┼──────┼──────┼─────┤

│성동구 │1952 │654 │-66.49 │

├──────┼──────┼──────┼─────┤

│강북구 │291 │176 │-39.51 │

├──────┼──────┼──────┼─────┤

│중랑구 │494 │299 │-39.47 │

├──────┼──────┼──────┼─────┤

│마포구 │750 │496 │-33.86 │

├──────┼──────┼──────┼─────┤

│금천구 │341 │243 │-28.73 │

├──────┼──────┼──────┼─────┤

│성북구 │736 │554 │-24.72 │

├──────┼──────┼──────┼─────┤

│도봉구 │534 │417 │-21.91 │

├──────┼──────┼──────┼─────┤

│서초구 │612 │746 │21.89 │

├──────┼──────┼──────┼─────┤

│강남구 │922 │941 │2.06 │

├──────┼──────┼──────┼─────┤

│송파구 │856 │852 │-0.46 │

└──────┴──────┴──────┴─────┘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의 주택시장을 ‘재건축 장세’라고 표현한다. 정부의 규제 완화로 최근 7∼8년 간 묶여있던 재건축 사업에 숨통이 트이면서 희소성이 있는 강남권 재건축 단지에 투자수요가 몰리는 것이다.

이 경우 전체 집값이나 거래량까지 높여놔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다른 지역까지 모두 호황을 이루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착시 현상에 빠지기도 한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최근 부동산 시장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시중에 떠도는 유동자금이 돈이 될 만한 곳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일반 분양이 이뤄지는 재건축 시장은 당분간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재건축 가격이 언제까지 ‘나홀로’ 강세를 이어갈지는 미지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