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 포럼-광주 전남] “아이디어·인재 양성… 에너지 신산업 우뚝”

[지역경제 활성화 포럼-광주 전남] “아이디어·인재 양성… 에너지 신산업 우뚝”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16-08-29 22:32
수정 2016-08-30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승일 서울대 교수

1948년 북한의 단전으로 시작된 대한민국 전력산업은 이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설비와 공급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고립된 상태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미지 확대
문승일 서울대 교수
문승일 서울대 교수
거대한 전력망의 시대가 지나가고 소규모 자율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시대가 도래했다.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의 대량 보급이 목전에 다가와서 에너지 인프라의 혁신적인 변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면서도 한편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 내고자 하는 것이 에너지 신산업이다. 결국 창조경제의 정신을 에너지 분야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핵심 아이디어다.

특히 한국전력을 비롯한 유수한 에너지 공기업이 이곳 나주혁시도시에 있는 에너지밸리로 이전하면서 전남은 에너지 신산업을 이끌고 나갈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였다. 정부와 광주·전남 지자체가 긴밀한 공조체제를 갖추고서 글로벌 에너지산업을 리드할 터전을 만들어 가는 셈이다.

앞으로 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연구개발에서부터 상용화하는 단계까지 기술적·재정적 지원을 해나가야 하는 충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유기적인 생태계를 구축해 에너지 신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에너지밸리에서 전개되는 에너지 신산업이 이곳 광주·전남 지역의 발전은 물론이고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자리매김해야만 한다. 다가오는 통일의 시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뜻과 지혜를 모아야만 한다. 나주빛가람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신산업 테스트베드, 스마트 에너지 도시, 글로벌 에너지 허브 조성과 국가 주도의 전략적인 에너지밸리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광주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6-08-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