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연봉킹은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139억8천만원

상반기 연봉킹은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139억8천만원

입력 2017-08-14 21:04
수정 2017-08-14 2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도체서 사상 최대 실적 낸 데 따른 특별상여만 80억원

이미지 확대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올해 상반기 주요 대기업 총수(오너)와 전문 경영인(CEO·최고경영자) 가운데 가장 보수를 많이 받은 사람은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약 140억원을 받았다.

14일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권 부회장은 올해 상반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사업의 실적 호조 등에 힘입어 총 139억8천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작년 상반기의 29억원과 견주면 거의 5배 수준이다.

이를 세분해보면 급여로는 9억3천700만원을 받는 데 그쳤지만 상여가 50억1천700만원에 달했다.

여기에 보태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품) 부문장으로서 상반기 반도체 사업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면서 ‘1회성 특별상여’ 명목으로 무려 80억2천600만원을 받았다.

삼성전자 CE(소비자가전) 부문장인 윤부근 사장과 IM(인터넷모바일) 부문장인 신종균 사장은 상반기에 각각 50억5천700만원과 50억5천만원을 받았다.

그룹 오너인 이재용 부회장의 보수는 8억4천700만원이었다.

이 부회장은 지난 2월 구속 수감되면서 월 1억5천900만원인 급여를 두 달 치만 받아 급여는 3억1천800만원이었고, 상여금으로는 5억2천900만원을 수령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 부회장의 보수 역시 임원 처우규정에 따라 결정됐다”며 “전장업체 하만 인수 등 대형 M&A(인수·합병)를 추진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한 점을 감안해 상여금을 산정했다”고 말했다.

재계 서열 2위인 현대자동차그룹의 정몽구 회장과 그 아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각각 40억500만원, 6억2천400만원을 계열사들로부터 받았다.

정몽구 회장의 경우 현대차로부터 22억9천만원, 현대모비스에서 17억1천500만원을 받았다. 작년 상반기에는 42억원을 받았는데 약 2억원이 줄었다.

정의선 부회장은 현대차에서 6억2천400만원을 받았다. 이 역시 작년 상반기(6억6천100만원)보다 3천700만원 정도 감소한 것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작년 10월 이후 그룹 임원들이 급여를 자진 삭감해 올해 상반기 보수가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줄었다”고 설명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올해 상반기 보수로 기본급 20억원에 상여 23억원을 합쳐 43억원을 받았다. 지난해 상반기의 38억5천700만원보다 4억4천300만원 늘어난 액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상반기 보수로 10억원을 받았다. 상여금 없이 급여만 받은 금액이다.

작년 상반기에는 5억7천500만원을 보수로 받았는데 올해는 이보다 4억2천500만원을 더 받았다.

다만 작년 보수는 지난해 3월 18일 최 회장이 등기이사에 선임된 이후부터 6월 말까지 석 달여간 일한 것만 반영된 것이었다.

지난해 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에 선임된 조대식 SK 사장은 급여 5억원에 상여금 13억8천만원을 합쳐 모두 18억8천만원을 받았다.

SK텔레콤 사장으로 옮겨간 박정호 전 SK 대표이사는 올해 상반기 급여 없이 상여만 14억9천만원을 받았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전년(26억5천299만원)보다 10억원가량 늘어난 36억2천5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롯데케미칼에서 12억5천만원, 롯데쇼핑에서 8억7천500만원, 롯데제과에서 8억7천500만원 등을 각각 탔다.

GS 허창수 회장은 상반기 49억5천300만원을 급여나 상여로 받았다.

우선 GS로부터 급여 11억3천400만원과 상여금 27억3천500만원을 수령했고, GS건설에서도 10억8천4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같은 기간 GS칼텍스 허진수 회장의 보수는 상여금 15억700만원을 포함해 23억900만원으로 나타났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대한항공에서 급여와 상여를 더해 18억8천432만원, ㈜한진에서 6억7천425만원, 한진칼에서 16억2천540만원 등 모두 41억8천397만원을 받았다.

CJ 손경식 회장은 작년(15억9천만원)과 비슷한 16억2천400만원을 받았고, 올해 초 ㈜효성 대표이사에서 물러나며 경영에서 손을 뗀 조석래 전 효성 회장도 작년(14억8천800만원)과 비슷한 15억원을 보수로 지급받았다.

구자열 LS 회장은 전년보다 4억원 가까이 증액된 17억6천100만원을 수령했다.

두산그룹 박정원 회장은 8억6천500만원,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은 7억원,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은 6억9천3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지난해 상반기엔 보수가 5억원을 밑돌아 공개하지 않았지만 올해 상반기엔 12억5천700만원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보수가 작년의 11배 이상으로 늘어 눈길을 끌었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등으로 회사 실적은 감소했지만 서 회장 보수는 크게 늘어난 것이다.

서 회장은 아모레퍼시픽에서 65억5천350만원, 아모레퍼시픽그룹에서 30억8천150만원 등 모두 96억3천500만원을 수령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회장도 전년보다 59% 증가한 28억8천400만원을 받았고,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약 5억여원 늘어난 23억200만원을 받았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