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자동차 등 주력산업 부진 직격탄
외국인 관광객 많은 제주·서울은 증가조선과 중공업, 자동차 산업의 부진 여파로 올해 2분기 부산과 울산의 서비스업 생산과 소비가 동반 감소했다. 반면 외국인 여행객이 많이 다녀가는 제주와 서울의 서비스업 생산과 소비는 동반 증가했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19년 2분기 시도 서비스업 생산 및 소매 판매 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4%,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 판매도 2.0%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2분기 부산의 서비스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 감소했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부산의 서비스업 생산이 줄어든 것은 2010년 이후 올해 2분기가 처음이다. 이는 금융·보험(-4.5%), 교육(-4.1%) 등의 생산 감소 폭이 컸기 때문이다. 부산은 소매 판매도 지난해 2분기보다 1.3% 줄었다. 백화점(5.8%)과 면세점(5.0%)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승용차·연료소매점(-4.1%), 대형마트(-4.4%) 등에서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조선·중공업 구조조정 여파가 지속된 울산의 서비스업 생산도 지난해 2분기보다 0.3% 줄었다. 올해 1분기(-1.4%)에 이어 두 분기 연속 감소세다. 금융·보험(-4.5%), 숙박·음식점(-5.7%) 등에서의 감소가 컸다. 울산의 소매 판매 역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했다.
반면 외국인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제주와 서울 등의 서비스업 생산과 소비는 동반 증가했다. 제주의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1% 늘었고, 소매판매는 7.2% 증가했다. 소매 판매의 경우 면세점(21.0%), 전문소매점(6.7%)에서 늘었다. 서울의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 판매는 지난해 2분기보다 각각 0.3%, 5.4% 늘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9-08-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