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융합모델인 ‘지역별 부동산 시장 분석 모델’과 ‘공동주택 철근 소요량 예측 모델’로 지난 9일 건설업계 최초로 한국표준협회 ‘AI+ 인증’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포스코이앤씨가 지난 9일 자체 개발한 AI알고리즘 융합모델 ‘지역별 부동산 시장 분석 모델’과 ‘공동주택 철근 소요량 예측모델’에 대해 한국표준협회로부터 건설업계 최초로 ‘AI+ 인증’을 받았다. 사진은 왼쪽부터 서성원 한국표준협회 국제인증센터장, 김태형 인증본부장, 남성현 포스코이앤씨 R&D 센터장, 최종문 신성장미래기술연구소장. 포스코이앤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포스코이앤씨가 지난 9일 자체 개발한 AI알고리즘 융합모델 ‘지역별 부동산 시장 분석 모델’과 ‘공동주택 철근 소요량 예측모델’에 대해 한국표준협회로부터 건설업계 최초로 ‘AI+ 인증’을 받았다. 사진은 왼쪽부터 서성원 한국표준협회 국제인증센터장, 김태형 인증본부장, 남성현 포스코이앤씨 R&D 센터장, 최종문 신성장미래기술연구소장. 포스코이앤씨 제공
‘AI+ 인증’은 한국표준협회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등 국제표준에 근거해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다.
포스코이앤씨가 이번에 개발한 ‘지역별 부동산 시장 분석’ AI 모델은 매매가, 매매수급 동향 등의 지표를 데이터화해 시장현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 인자를 도출할 수 있는 모델이다. 주택 공급이 필요한 도시를 발굴하고 적정 공급 규모와 공급 시기를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공동주택 철근 소요량 예측 모델’은 포스코이앤씨가 과거 시공한 공동 주택의 타입별 철근 사용량을 머신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규 건설에 소요되는 철근량을 산출하는 모델이다. 견적 단계부터 철근 사용량의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철근 수급과 시공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고객에게 더욱 우수한 품질의 건축물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스마트 기술을 적극 도입해 안전·품질의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실천에 앞장서고 ‘리얼 밸류’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