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품은 본점, 리뉴얼 오픈 명동 외국인 1000만 시대 목표
외국인 VIP 라운지 등 만들어… 두타 면세점과 경쟁 등 과제로최근 신세계가 남매 분리 경영을 가속화한 가운데 본격적으로 경영 일선에 등장한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의 경영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정 사장의 지휘 아래 그룹의 모태인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그룹의 숙원 사업이었던 시내 면세점이 새롭게 문을 연다.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본점 재개장과 면세점 개점으로 신세계가(家) 남매 경영 경쟁도 본격화됐다. 지난달 29일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과 정 사장은 각각 보유한 신세계와 이마트 주식을 장내 매매를 통해 교환했다.
남매의 경영 방식은 확연히 다르다. 평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이마트의 새로운 사업과 제품 등을 적극 홍보하고 있는 오빠 정 부회장과 달리 동생인 정 사장은 면세점 개점식 등 공식 석상에 나서지 않기로 했다. 그룹 관계자는 “정 사장은 조용히 뒤에서 경영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라고 말했다.
정 사장에게는 리뉴얼한 본점과 강남점 등을 중심으로 현대백화점에 밀린 백화점 업계 2위 자리를 되찾아야 한다는 과제가 놓여 있다. 또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이 같은 날 문을 여는 두산의 두타면세점, 추가로 지정될 서울 시내 면세점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도 정 사장의 주요 과제다.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은 구찌, 베르사체 등 명품 브랜드를 입점시키긴 했지만 면세점의 상징인 빅3 명품(에르메스, 샤넬, 루이비통)을 아직 유치하지 못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05-1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