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남부지사에서 열린 ‘국가기술자격증 불법 대여 예방 캐치프레이즈 공모전 시상식’에서 김동만(앞줄 왼쪽 세 번째)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이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5월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남부지사에서 열린 ‘국가기술자격증 불법 대여 예방 캐치프레이즈 공모전 시상식’에서 김동만(앞줄 왼쪽 세 번째)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이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제공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국가자격시험 부정행위 근절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지난해 공단이 시행한 국가자격시험 응시생은 303만여명, 최종 합격자는 59만명 수준이다. 하지만 자격증 불법 대여 등 각종 부정행위가 끊이지 않아 국가 자격의 신뢰성이 위협받고 있다. 급기야 국회가 나서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는 상황이 됐다. 지난해 공단은 부정행위를 근절하고자 ‘국가자격 혁신추진단’을 구성했다. 시험운영 전반을 점검해 122개 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시험제도 개선에도 나섰다. 우선 공개 문제 종목을 전년 대비 50% 이상 늘려 시험문제 유출 가능성을 원천 차단했다. 앞으로도 문제 사전공개 종목을 늘려 시험의 투명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엄격한 검증 절차를 거쳐 공정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감독위원 1300여명을 선정했다. 이들은 직무 교육과 보안 서약을 거친 뒤 현장에서 활동 중이다. 온라인 부정신고센터를 운영해 누구나 큐넷(Q-Net) 홈페이지에서 부정행위를 신고할 수 있게 했다.
여기에 국민 참여를 통해 부정행위에 대한 사회인식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부정행위 예방 방송캠페인을 실시하고 수험자들이 보는 수험표와 문제지 등에 부정예방 표어 노출을 강화했다. 국가자격시험에 참여하는 학교와 유관기관에 부정예방 안내문을 나눠줘 ‘부정행위 근절’이라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김동만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우리 사회에서 국가자격 부정행위가 근절될 수 있도록 제도 혁신을 추진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국가 자격 운영기관이 되겠다”고 밝혔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4-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