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규모 3D 모델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전문기업 ㈜시스테크(대표 박성진)가 이스라엘 Skyline software사와 3차원 디지털트윈 핵심기술 협력 등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고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0일 밝혔다.
시스테크는 2011년 설립 이후 2015년 드론연구소를 개설하고 드론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시험을 지속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도시규모 3D 모델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분야에서 사업 수행 능력 및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시스테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시스테크 제공.
이에 다양한 국책사업 및 R&D 사업을 진행하며, 자체 개발한 드론 기술과 영상전처리 기술로 제작된 3차원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 자산관리 솔루션 ‘SAMS (Smart Asset Management Solution)’ 등을 선보였다.
글로벌 3D 시각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글로벌 기업인 이스라엘 Skyline사와의 업무협약은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열린 ‘제15회 스마트국토엑스포’가 계기가 됐다. 양사는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3차원 데이터 기술공동 개발 및 디지털트윈 핵심기술에 대한 협력을 시작했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시스테크의 해외 진출은 속도를 더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시스테크는 올해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항공안전기술원이 주관하는 ‘2023 해외 드론로드쇼(콜롬비아, 사우디아라비아, UAV EXOPO, 체코공화국)에 참석해 다수의 해외 기업과 업무협약 및 POC를 진행 중이다.
업체에 따르면 인도의 M사와는 공간정보 구축용 드론공장 설립 및 도시모델링 사업 POC를 진행 중이며 올해 안으로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또 사우디아라비아 NAUSS 대학과는 도시모델을 위한 기술지원 및 POC를 진행하고 있다. 캐나다 Altohelix와는 캐나다 및 북미의 소방관련 디지털트윈 시장을 개척하고 있으며, 체코공화국의 Promo사와는 자사 UAV에 시스테크의 3D-Model 제작 기술을 접목하여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협약 및 POC를 진행 중이다.
박성진 시스테크 대표는 “국토부와 항공안전기술원, KOTRA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세계 각국의 드론로드쇼에서 다양한 잠재고객을 만나고 사업확장의 기회를 모색할 수 있었다”며 “6차례의 해외 드론로드쇼 및 전시 참여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에 대한 확신을 얻고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게 됐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