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종욱 대우건설 사장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의 수석기자 크리스토퍼 스타이너가 쓴 ‘석유 종말 시계’라는 책은 석유 생산이 급속히 줄어드는 가까운 미래의 암울한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이 책에서 그는 이미 우리 세대는 세계의 석유 생산량이 최고치에 달했다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피크 오일(Peak Oil)의 경계에 와 있다고 지적한다. 또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신흥 경제국의 산업화 가속과 급속한 소득증대에 따른 개인 승용차의 급증으로 석유 소비량도 덩달아 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스타이너는 곧 석유 생산량의 급감과 자원 고갈에 따른 필연적인 유가 급등과 원유 고갈을 경고하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모든 산업 생산품의 95%가 직·간접적으로 석유를 활용하고 있고, 심지어 농기계 등과 같이 먹거리를 생산하는 수단에서도 석유가 활용되고 있다.
저자의 말대로 가까운 미래에 갑자기 찾아올 석유 종말의 시대를 앞두고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인류의 경험과 지식의 종합예술이라고 하는 건설산업에서도 최근 새로운 에너지 개발과 활용, 에너지 절감기술에 대한 상용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회사에서 시공한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인 시화 조력발전소가 이달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세계에서 조수간만의 차이가 가장 심한 우리나라 서해안의 자연조건, 달이 선사하는 축복이라는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은 석유 종말의 시대를 대비하는 훌륭한 신재생 청정에너지원으로 손색이 없다. 또 아파트 단지 내에서 태양열과 지열을 이용해 자체 사용하는 에너지를 생산하고,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여 외부전력의 공급이 필요 없는 ‘제로 에너지(Zero-Energy) 아파트’ 기술의 개발도 한창이다.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정부도 2020년까지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을 이용해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그린홈 200만호’ 건설을 위해 각종 지원과 연구에 나서고 있다.
올해 초 일본대지진과 쓰나미에 따른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누출 사고로 원전에 대한 인식이 다소 민감해져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원자력 또한 석유를 대신할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이 청정에너지라고 하지만 아직 원자력에 비해 경제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아직도 우리나라는 유연탄과 석유 등을 이용한 화력발전이 전체 전기생산량의 50%가 넘는다.
때문에 경제성이 뛰어나고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은 우리 현실에 가장 적합한 전기발전 방식의 하나일 것이다. 새로운 청정 에너지원이 등장하기까지의 원자력을 대체 에너지로 활용하는 방안이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철저한 안전시공과 운영이라는 대전제가 붙어야 한다는 것은 물론이다.
해양 석유시추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자원재활용 기술의 발전, 대체에너지 개발속도 등을 고려하면 아직 석유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많이 남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언젠가는 석유가 고갈될 것이라는 점이다.
우리 모두 에너지가 필요 없는 원시의 자연으로 돌아가기를 원하지 않는 한, 현재 시점에서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해서 친환경 신에너지 기술 개발에 머뭇거려서는 안 된다. 미래 에너지 기술의 선점이야말로 석유종말 시대를 살아갈 다음 세대의 풍요를 약속할 선물이기 때문이다.
친환경 신에너지 기술 개발에 머뭇거려서는 안 된다. 미래 에너지 기술의 선점이야말로 석유종말 시대를 살아갈 다음 세대의 풍요를 약속할 선물이기 때문이다.
2011-08-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