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작아진 피라미드, 커진 마스타바/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작아진 피라미드, 커진 마스타바/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

입력 2022-12-05 20:32
수정 2022-12-06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
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
고왕국 5왕조 시대(기원전 2494~ 345년)를 거치면서 피라미드의 규모는 현저하게 작아졌다. 반면 귀족들의 마스타바 무덤은 규모가 점차 커졌을 뿐만 아니라 무덤 내부의 장식도 더 화려해졌다. 권력 관계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프타솁세스의 무덤은 이 시기 귀족 무덤의 대표적인 예다. 그는 5왕조 파라오 니우세르라(재위 기원전 2445~2321년) 시대의 인물인데, 파라오의 사위로 총리를 역임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사회적으로 최고 지위까지 올랐다.
이미지 확대
프타솁세스의 마스타바.
프타솁세스의 마스타바.
그의 무덤은 니우세르라의 피라미드 인근에 만들어졌다. 모시던 왕의 무덤 바로 옆에 무덤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굉장한 특권이었다. 실제로 파라오가 직접 무덤의 위치를 정해 줬을 가능성도 있다.

프타솁세스의 마스타바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50m, 40m가 넘고 높이도 7m에 이른다. 이 무덤은 고왕국 시대의 개인묘 가운데 가장 큰 축에 속하는 것이다. 니우세르라의 피라미드가 밑변의 길이는 약 80m, 높이는 50m가 조금 넘었던 것을 감안하면 피라미드와 마스타바의 크기 차이는 이전 시대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

그의 무덤은 내부의 구조도 무척 복잡한데, 규모와 복잡함을 염두에 둔다면 건설에 엄청한 양의 자원과 인력이 투입됐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프타솁세스를 비롯한 당대 이집트 최상위층 귀족의 권력이 어느 정도로 커졌는지를 방증한다.

프타솁세스의 무덤에는 망자 본인의 모습이 적극적으로 그려졌다. 그의 업적을 자랑하는 다양한 자전적 기록들도 확인된다. 이전 시대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현상인데, 귀족들이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취향을 드러내 놓고 표현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다 커진 귀족들의 사회적 입지는 결국 파라오의 권위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배경이 됐고, 점차 이집트의 중앙권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고왕국이 해체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바로 이 무렵의 일이다.
2022-12-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