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여는 아침] 고양이가 수레를 끌 수 있을까

[고전으로 여는 아침] 고양이가 수레를 끌 수 있을까

입력 2016-06-02 22:52
수정 2016-06-02 23: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만언소’는 토정 이지함이 57세 때 처음 포천 현감이 돼 곤궁에 시달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방책을 진달한 상소입니다.

해동청은 고려에서 바다를 건너왔다 하여 중국에서 붙인 우리나라 매 이름입니다. 이덕무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 “매 중에 가장 뛰어나고 털빛이 흰 것을 송골이라 하고 털빛이 푸른 것을 해동청이라 한다”고 했습니다.

한혈구는 천리마의 일종입니다. ‘한서’(漢書) ‘무제기’에 “한 무제 때 장군 이광리가 대원(大宛)을 정벌하고 한혈마를 노획해 돌아와서 ‘서극천마가’(西極天馬歌)를 지었다” 했고, ‘땀이 어깻죽지에 피처럼 나므로 한혈이라 한다’고 설명을 붙였습니다.

천하가 알아주는 좋은 매에게 닭이 하는 일을 맡기거나, 천하가 알아주는 좋은 말에게 고양이가 하는 일을 시킨다면 일이 잘될 리 없습니다. 이어 이지함은 되묻습니다.

‘하물며 닭이 사냥을 할 수 있겠으며, 고양이가 수레를 끌고 다닐 수 있겠는가.’ 매, 닭, 말, 고양이는 모두 나름대로 특별한 재주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할 수 없는 일을 맡는다면 도리어 천하의 무용지물이 되고 말 것입니다. 사람을 적재적소에 쓰는 것이 결국 백성을 살리고 나아가 나라를 살리는 길이라고 이지함은 생각했습니다.

■이지함(李之菡·1517∼1578)

조선 중기의 학자. 호는 토정(土亭). ‘토정비결’의 저자. 수리·의학·복서·천문·지리·음양·술서 등에 두루 통달했다. 점치는 일에 능하다는 소문이 나서 사람들이 다투어 운세를 보려고 찾아오자 ‘토정비결’을 지었다고 한다. 전국 산천을 다니며 각지의 명당 자리를 점지하기도 했다.

오세옥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www.itkc.or.kr) ‘고전산책’ 코너에서는 다른 고전 명구나 산문, 한시 등도 감상할 수 있습니다.
2016-06-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