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이 오늘 청와대에서 1년 2개월 만에 머리를 다시 맞댄다. 이번 간담회는 이 대통령 취임 이후 네 번째로 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협력 발전방안을 주제로 한다. 대기업의 희생을 강요하거나 양보를 압박하는 자리가 되어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그러다가는 일회성 이벤트나 공허한 구호에 그칠 공산이 커질 뿐이다. 무엇보다 경제 현장에서 먹혀들 수 있는 방안이 나오려면 대기업의 자발적인 협력이 필수다. 그들 스스로 공정한 상생안을 내놓는 게 최선이다.
이번 간담회는 새로운 것도 아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도 똑같은 주제로 여러 차례 열렸다. 다른 게 있다면 현 정부가 더 친기업적임을 내세우고 있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책 발굴에 매진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것만으로 대기업들이 중소기업과 상생하기를 기대한다면 무리다. 기본적으로 기업은 이윤을 먹고 산다. 그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강요부터 하는 건 온당치 않다. 그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첩경임을 인지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 그들의 이윤 극대화는 중소기업의 이익을 빼앗는 데서 오는 게 아니다. 중소기업에 공정한 기업 활동을 보장해주고 동반 성장으로 키운 과실을 함께 따먹어야 가능하다. 지금 우리 경제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의 회복기를 맞고 있다. 그 온기를 대기업들이 독식할 정도로 양극화된 경제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이런 불합리한 구조를 극복해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고, 바로 이게 공정경제다. 중소기업이 부실해지면 대기업도 자유로울 수 없다.
지난 8일엔 이 대통령과 중소기업 대표들의 간담회가 열렸다. 중소기업들이 자체 조사해서 이날 제시한 자료를 보면 허탈한 느낌마저 든다. 대기업들이 상생을 실천할 강력한 의지가 있다고 믿는 중소기업인은 전체의 5.8%에 불과하다고 한다. 납품단가 연동제 요구에 전경련 측이 즉각 반발한 것만 봐도 양측의 간극이 드러난다. 이 벽을 허무는 건 대기업 총수들의 몫이다.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직접 챙겨보라. 매번 청와대 전시용 보따리에 매달릴 때가 아니다.
이번 간담회는 새로운 것도 아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도 똑같은 주제로 여러 차례 열렸다. 다른 게 있다면 현 정부가 더 친기업적임을 내세우고 있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책 발굴에 매진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것만으로 대기업들이 중소기업과 상생하기를 기대한다면 무리다. 기본적으로 기업은 이윤을 먹고 산다. 그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강요부터 하는 건 온당치 않다. 그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첩경임을 인지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 그들의 이윤 극대화는 중소기업의 이익을 빼앗는 데서 오는 게 아니다. 중소기업에 공정한 기업 활동을 보장해주고 동반 성장으로 키운 과실을 함께 따먹어야 가능하다. 지금 우리 경제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의 회복기를 맞고 있다. 그 온기를 대기업들이 독식할 정도로 양극화된 경제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이런 불합리한 구조를 극복해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고, 바로 이게 공정경제다. 중소기업이 부실해지면 대기업도 자유로울 수 없다.
지난 8일엔 이 대통령과 중소기업 대표들의 간담회가 열렸다. 중소기업들이 자체 조사해서 이날 제시한 자료를 보면 허탈한 느낌마저 든다. 대기업들이 상생을 실천할 강력한 의지가 있다고 믿는 중소기업인은 전체의 5.8%에 불과하다고 한다. 납품단가 연동제 요구에 전경련 측이 즉각 반발한 것만 봐도 양측의 간극이 드러난다. 이 벽을 허무는 건 대기업 총수들의 몫이다.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직접 챙겨보라. 매번 청와대 전시용 보따리에 매달릴 때가 아니다.
2010-09-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