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창엽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장
실리콘밸리의 발전은 하나의 창의적 씨앗을 매개로 연속적이고 파생적인 성공의 결과로 볼 수 있다. 2차 세계대전 후 트랜지스터가 발명되고 반도체 상용화의 가능성이 인텔을 탄생시켰다. 이는 애플의 퍼스널 컴퓨터로 이어졌다. 1990년대 인터넷 시대에서 넷스케이프와 야후, 이베이에 이어 구글이 탄생한다. 21세기 모바일 붐으로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성공하고 연이어 테슬라와 우버, 링크드인 등 최근의 창조적 파괴를 통한 성공 사례가 나온 것이다.
실리콘밸리는 가장 가벼운 몸집으로 창업과 폐업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해마다 약 2만개의 기업이 새로 생기고 거의 같은 숫자가 사라진다. 극소수의 벤처기업만이 거액의 투자자금을 받거나 글로벌 기업에 인수되는 성공을 누린다. 몇 안 되는 성공 사례가 실리콘밸리 전체의 분위기를 이끄는 것이다. 애플, 구글과 같이 이미 성공한 글로벌 기업들도 항상 스타트업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시한다. 구글 본사에는 자연사박물관에 있어야 할 뼈만 남은 공룡 모형이 있다. 환경에 빨리 적응하지 못해 도태된 공룡처럼 되지 말자는 묵언의 자기 경고다.
실리콘밸리의 기존 발전 과정과 현재 기업 생태계는 자생적 선순환 구조라는 것이 정설이다. 따라서 제2, 제3의 실리콘밸리를 만들고자 하는 정부의 역할에 대해 견해가 나뉜다. 경제학적으로는 정부 주도의 케인지언과 시장주의자인 시카고학파의 대립된 주장으로 비유된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이 도태되지 않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려면 촉매의 기능을 가진 정부의 역할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다만 물리적 환경이나 제도 등 하드웨어형 정책보다는 교육, 문화 등 보다 근원적이고 다방면의 소프트웨어 정책으로 새로운 변화를 이끌 필요가 있다고 본다.
실리콘밸리가 있게 된 근본적인 요인은 몇 가지로 이해된다. 첫째, 자기주도 및 완결형 행동문화다. HP와 같이 미국인의 차고는 내가 좋아서 스스로 고치고 만들어 완성하는 곳이다. 창업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다 보니 그렇게 될 수도 있는 부수적 과정이다. 처음부터 누구에게 기대서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둘째, 너드(Nerd)에 대한 용인이다. 너드는 특정 분야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지만 여기에 몰입되어 다른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지 못하는 똑똑한 바보를 일컫는 말이다.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마크 저커버그와 같은 실리콘밸리의 너드를 ‘왕따시켰다면’ 지금의 세상은 얼마나 불편해졌겠는가.
셋째 별거 아닌데도 칭찬하고 격려하는 문화다. 이는 실리콘밸리 사람들이 특히 잘하는 것 같다. 따라서 그리 나쁜 짓이 아니면 젊은이들을 그냥 두고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기성세대의 기준으로 판단하기가 부담스럽지 않은가. 블룸버그는 2015년 혁신 국가 순위에서 한국을 전체 1위로 꼽았다. 실리콘 코리아를 그려본다.
2015-07-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