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이경우의 언파만파]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3-14 20:44
수정 2021-03-15 09: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지난주 국립국어원이 ‘2020년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국어에 관심 있다고 답한 사람은 55.4%였다. 이 가운데 ‘말하기’는 78.5%, ‘언어예절’은 73.9%, ‘맞춤법’은 69.8%, ‘글쓰기’는 69.1%의 관심도를 보였다. 1인 미디어 시대, 소셜미디어 시대 개인이 공적인 영역에 더 노출되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이 조사에서 특히 더 눈길을 끄는 건 ‘맞춤법’에 대한 결과다. 맞춤법에 대한 관심은 첫 조사인 2005년에는 19.9% 정도였다. 지난 15년 사이 무려 50% 포인트 정도 높아진 것이다.

맞춤법을 잘 지키려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맞춤법이 국민들에게 까다로운 규범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맞춤법이 극복의 대상으로 비쳐지는 것이다. 이렇게 된 데는 표기 원칙들을 담은 맞춤법 조문 때문일 수 있다. 이 조문들은 국어생활에서 반드시 익혀야 하는 것처럼 제시돼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조문을 보지 않는다. 봐도 어렵다고 한다. 그 결과 뭔가 찜찜하다는 느낌을 갖고, 맞춤법을 실제보다 더 어렵게 생각한다.

국민들이 실제 습득해야 하는 건 맞춤법이 적용된 결과물들이다. 이건 국어사전을 찾으면 다 나온다. 많은 사람들이 국어사전을 이용해 맞춤법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고 보면 규정을 보고 원리를 따지고 하는 일은 전문가들의 영역에 속한다.

지금처럼 맞춤법 조문을 모든 이가 알아야 한다는 듯 내보이는 게 적절한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상의 국어생활이 맞춤법 조문을 따지며 이뤄지지 않는다. 규정에 따른 결과들이 중요하고 유용할 뿐이다. 애초 한글맞춤법을 만든 목적은 국어사전에 올리려는 단어들의 표기 원칙을 마련하는 데 있었다.

이번 조사에선 89%가 신문과 방송에 나오는 말 가운데 의미를 몰라 곤란한 경험을 했다고 답했다. 곤란함을 겪은 말은 전문용어(53.3%), 어려운 한자어(46.3%), 신조어(43.1%)로 나타났다. 언론 매체는 일상의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렇지만 언론 매체에 나오는 전문용어 가운데는 표준화되지 않아 혼란을 주는 것들이 적지 않다. 정제되지 않은 신조어들이 나타나는 예들도 많다.

정부는 각 전문분야 용어를 표준화하는 일을 진행하고 있다. 언론의 보도용어들이 더 다듬어져서 국민들에게 전달돼야 하는 건 당연하다. 국가 차원에서 보도용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 일도 필요하다.

wlee@seoul.co.kr
2021-03-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