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품앗이/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품앗이/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5-01 18:14
수정 2016-05-01 18: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직 봄인데 여름 같다. 바람이 있지만 덥다. 푸른 산에는 진달래꽃이 여전히 붉다. 이른 아침부터 어른들의 손길이 바쁘다. 못자리를 하는 날이다. 파랗게 싹이 난 모판을 줄지어 논에 내다 놓았다. 논에는 적당히 물이 차 있다. 가지런히 놓이는 모판은 잔디 같다. 모판 정리가 끝나자 대나무로 지줏대를 세워 비닐을 씌운다. 모가 좀 더 자라게 온도를 맞추기 위해서다.

논농사는 밭농사에 비해 품이 덜 든다. 기계화가 많이 됐다. 모내기, 벼 베기, 탈곡의 과정은 거의 다 기계의 힘에 의지한다. 농사의 진화랄까. 한편으론 농촌을 지키는 어른들이 고령화된 까닭이다. 그래도 농부의 손이 닿지 않고서는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는 게 농사다. 품앗이가 남아 있는 이유다.

동네 어른 예닐곱 분이 못자리에 나섰다. 볍씨를 모판에 뿌린 지 1주일 만이다. 흙을 넣고, 물을 뿌리고, 볍씨를 놓고, 다시 흙을 덮는 파종도 전과 달리 기계에 의존한다. 단계마다 일손이 필요해서다. 못자리가 끝날 무렵 새참을 내오셨다. 흙 묻은 손을 논물에 씻고 둘러앉아 막걸리 한 잔씩 시원하게 들이켜시더니 “올 농사도 절반이 끝났어” 넓은 들판처럼 표정도 환해지신다. 농사철이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5-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