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경외심/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경외심/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17-09-17 17:32
수정 2017-09-17 17: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곤충, 물고기, 야생동물들의 삶을 보여 주는 다큐멘터리 영상물은 볼 때마다 숙연한 마음이 든다. 놀랍고도 신기한 그들의 능력과 함께 희생적인 삶이 감동을 준다. 모기는 빗줄기를 피해서 날아다닐 수 있고, 못생긴 꽃등에는 초당 1000번 이상의 날갯짓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개미, 매미, 나비 등 우리 주변의 보잘것없어 보이는 곤충들도 사실은 엄청난 능력을 소유한 신의 창조물이자 지구를 공유하며 살고 있는 이웃들임을 일깨워 준다.

더욱 놀라운 것은 자식 사랑이다. 어떤 거미는 새끼 수십, 수백 마리를 머리에다 붙인 채 몇 개월을 참고 지낸다. 제주도 문섬 주변에서 서식하는 줄도화돔 수컷은 암컷이 낳은 알을 수정한 뒤 입안에 한가득 담은 채 생활한다. 그 기간 내내 먹이 활동을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모두가 천적으로부터 자식을 보호하기 위한 희생이다. 본능이라고 하지만 그들의 삶이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의 모성애, 부성애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물고기, 벌레 한 마리에도 경외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세상에 하찮고 쓸모없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말을 실감한다.
2017-09-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