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보헤미안 랩소디/이두걸 논설위원

[길섶에서] 보헤미안 랩소디/이두걸 논설위원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8-11-06 23:10
수정 2018-11-07 0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록그룹 퀸이 1975년 그들의 대표곡인 ‘보헤미안 랩소디’를 발표했을 때 평단의 반응은 비판 일색이었다. 곡 러닝타임이 6분에 가까운 데다 혼란스러운 구성이 타깃이 됐다. 얼마 전 개봉한 동명의 영화를 보다 당시 비평한 대목이 눈에 들어왔다. “레드 제플린을 따라 하려는 거냐”는 것이었다. 퀸이 대중적인 팝에 가까운 곡을 내놨다면 레드 제플린은 블루스를 기반으로 강렬한 사운드에 구조적으로도 빼어난 하드록 사운드를 들려줬다. 그러다 보니 곡들이 10분을 훌쩍 넘기기 일쑤였다.

공부와는 담을 쌓은 채 음악에 빠져들었던 고교 시절 레드 제플린이나 핑크 플로이드, 아니면 이탈리아 프로그레시브 록그룹들의 평을 길게 늘어놓아야 ‘방귀깨나 뀐다’는 소리를 들었다. 레드 제플린의 팬을 자처했지만, 속내는 퀸 쪽에 쏠려 있었다. 프레디 머큐리의 마성(魔聲)의 보이스와 쫀득쫀득한 브라이언 메이의 기타, 그리고 저절로 머리를 흔들게 만드는 리듬은 불량식품이자 ‘길티 플레저’였다. 하긴 음악에 허영이 필요 없듯 인생도 어깨 힘 빼고 즐기면 그만이지. 그러니 ‘날 멈추게 하지 마. 좋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니까’(‘Don´t stop me now Cause I´m having a good time’, ‘돈트 스톱 미 나우’ 중)이다.

douzirl@seoul.co.kr
2018-11-07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