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말의 무게/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말의 무게/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20-05-24 22:20
수정 2020-05-25 0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말과 관련된 속담과 격언이 한국, 외국 할 것 없이 참 많다. 성경과 불경에도 말과 관련된 경구들이 자주 등장한다. 그만큼 말 때문에 일도 많고 탈도 많다는 얘기다. 한번 내뱉은 말은 주워담을 수도 없다. 그러니 말을 하기 전에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을 가려야 한다는 걸 잘 알면서도 생각처럼 안 된다.

말은 가까운 사람일수록 더 신중해야 한다. 속내까지 털어놓는 격의 없는 사이라도 지켜야 할 선이 있다. 친구는 물론 부부 사이에도, 부모와 자녀 사이에도, 형제·자매·남매 사이에도. 솔직한 것만이 능사가 아닐 때가 잦다. 상대방을 위한 고언(苦言)이라고 하지만 때때로 자기 마음 편하자고 하는 때도 없지 않다.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지만 남보다 못한 가족이 돼 상종도 안 하는 사람들도 있다.

말은 오래간다. 글만 평생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게 아니다. 녹음을 해서가 아니라 상대의 마음에 오래 남는다. 힘이 되어 준 덕담보다 상처가 된 말이 더 길게 가기 마련이다. 진부해도 인간에게 눈과 귀는 둘인데, 입이 하나인 이유를 거리에서 마주치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떠올린다. 말 많은 세상에 말의 무게를 온몸으로 느끼며 말을 적게 하며 살기, 그게 쉽지 않다.

kmkim@seoul.co.kr

2020-05-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