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소심한 저항/진경호 논설위원

[길섶에서]소심한 저항/진경호 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21-11-22 19:54
수정 2021-11-23 0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3년쯤 됐나. 지방의 한 식당에서 처음 서빙 로봇이라는 신문물(?)을 목도했다. 1미터 조금 넘는 높이에 바퀴가 달린, 신문 가판대같이 생긴 녀석이 반찬과 물병 등을 식판에 담고서는 테이블 사이를 요리조리 헤치고 다니는 품새가 마냥 신기했다. 사람과 마주치면 멈추고 다시 앞길이 열리면 굴러갔다. 종업원에게 물었다. 일손 좀 덜겠어요? “걸리적거리기만 해요. 저런 걸 왜 갖다 놨나 몰라….”

종업원의 시큰둥한 답변이 무슨 연유였는지 요즘 절감한다. 제법 많은 식당에 이들 서빙 로봇이 돌아다닌다. 그리고 이 로봇 수에 비례해 종업원이 안 보인다. 종업원 도우미 정도로 생각했는데 아뿔싸 종업원 대체재인 것이다. 감응센서에다 위치식별장치 정도가 달린 게 고작이어서 로봇이라 부르기도 민망하건만, 한 달 렌털비 50만원 정도면 되는 이런 기계 한둘에도 한 달 200여만원 받는 사람 일자리 하나가 날아간다. 음식 주문과 결제는 키오스크로 하고, 서빙은 바퀴 달린 로봇이 하고….

머지않아 사람의 서빙을 받으려면 고급 식당이나 가야 하고, 웬만한 식당에선 바퀴 달린 기계가 날라 주는 음식을 받아 먹어야 할 듯싶다. 고약한 마음에 서빙 로봇 복귀 버튼을 안 누르고 버텼다. “너 그냥 가만있어. 아무것도 하지 마.”

2021-11-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