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선배 한 분이 뉴스 링크를 하나 보내 줬다. 두 달을 넘겼던 코로나 봉쇄가 지난 1일 풀리자 중국 상하이에서 이혼 신청이 급증했다는 기사다. 신청 예약도 모든 날 다 꽉 찼다고 한다. 상하이가 중국 최대의 이혼 도시로 부상할 것 같다는 전망과 함께 “좁은 공간에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다 보니 자주 충돌하게 된 것 같다”는 촌평도 담았다. 미국으로 1년 연수 갔을 때 아내와 가장 많이 다퉜던 경험을 돌이켜 보면 틀린 해석은 아닌 듯하다.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 상대방의 단점만 눈에 들어온다. 필연적으로 싸움으로 이어진다. 평소 바빠서 자주 못 보던 사이일수록 더 그렇다.
흔히 기자와 취재원의 관계에서 언급되는 ‘불가근 불가원’(不可近 不可遠·너무 가까이도, 너무 멀리도 하지 말라)의 원칙을 부부 사이에도 적용해야 하나. 선배도 글 말미에서 비슷한 조언을 해 준다. “사이가 좋으려면 사이가 있어야 한다.” 부부 사이에도 ‘건강한 거리’가 꼭 필요하다는 뜻일 게다.
김성수 논설위원
2022-06-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