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퇴임 전 결국 의회 청문회 설까

힐러리, 퇴임 전 결국 의회 청문회 설까

입력 2012-12-21 00:00
수정 2012-12-21 04: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존 케리 “1월 벵가지 청문회 출석 의사 밝혀”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부 장관이 병으로 20일(현지시간) 열리는 의회 청문회에 출석하지 못해 일각에서 ‘꾀병’ 논란까지 이는 가운데 그가 1월 증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재임 기간 한 차례도 의회에 불려나가지 않았던 클린턴 장관이 결국 증언대에 설지 주목된다.

차기 국무장관에 내정된 존 케리(민주·매사추세츠) 상원 외교위원장은 이날 클린턴 장관이 1월 상원 외교위에 출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케리 위원장은 이날 상원과 하원 외교위에서 각각 열린 리비아 벵가지 영사관 피습 사건 청문회에 클린턴 장관이 나오지 못한 것과 관련해 “그가 오늘 여기에 나오려 했다는 건 여러분이 다 잘 알 것이다. 내가 보증하건대 이것(불출석)은 그가 스스로 결정한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병 때문에 불가피하게 출석하지 못한 것이지 병 등을 핑계 삼아 의도적으로 피한 게 아니라는 의미다.

케리 위원장은 그러면서 “클린턴 장관은 1월 위원회에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리애나 로스-레티넌(공화·플로리다) 하원 외교위원장의 대변인도 클린턴 장관의 비서실장이 그가 1월 중순 위원회 앞에서 증언하겠다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클린턴 장관은 지난 14일 바이러스성 위 질환에 따른 탈수 증세로 의식을 잃고 뇌진탕 증세를 일으킨 뒤 자택에서 근무하면서 회복 중이다.

이에 대해 일부 보수 논객은 ‘청문회 증언을 피하려는 꾀병’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일었다.

특히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시절 초강경파였던 존 볼턴 전 유엔 대사는 “물론 클린턴 장관의 병이 위중하지 않기를 바라지만, 외교관들은 누구나 아는 이른바 ‘외교 병(diplomatic illness)’으로, 행사나 모임에 참석하기 싫을 때 자주 둘러대는 핑계”라고 공세를 폈다.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에서 이런 주장이 사실무근이라고 발끈했다.

뉼런드 대변인은 “꾀병 의혹을 제기한 볼턴 전 대사 등 일부 인사는 자기가 무슨 얘기를 하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고 아무런 정보 없이 그런 허무맹랑한 발언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정말 불행한 일”이라고 반격했다.

연합뉴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박상혁 위원장(국민의힘, 서초구 제1선거구)은 지난 16일 양재AT센터에서 개최된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에 참석, 축사를 전하고 미래 세대의 진로 설계에 대한 서울시의회의 깊은 관심과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서울시교육청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며, 박상혁 교육위원장을 비롯해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교육청 및 학교 관계자 등이 참석하였다. 이들은 축사와 함께 행사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린 후, 행사장을 직접 둘러보며 학생들을 격려하고, 현장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운영 상황을 꼼꼼히 살펴봤다. 이번 서울진로직업박람회는 ‘가치를 담아 미래를 그리다!’라는 주제 아래 학생들의 실질적인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한 5가지 핵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진로상담을 통해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하고 ▲진로가치체험으로 직업 세계를 간접 경험하며 ▲진로콘서트와 ▲진로특강을 통해 성공 멘토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눈다. 그리고 ▲진로전시에서는 미래 유망 직종과 기술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박 위원장은 축사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 학생들이 스스로의 잠재력을
thumbnail -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2025 서울진로직업박람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