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안보회의] “남중국해 인공섬 중단” vs “美에 맞서 싸울 준비”

[아시아 안보회의] “남중국해 인공섬 중단” vs “美에 맞서 싸울 준비”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5-31 23:40
수정 2015-05-31 2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中 ‘샹그릴라 대화 충돌’

미국과 중국이 31일 싱가포르에서 끝난 제14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남중국해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충돌했다.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전날 연설에서 “중국이 남중국해에 건설하는 인공섬은 이 해역 긴장의 근원이다. 얼마나 더 많은 인공섬을 만들지 모르겠다”면서 “즉각적이고 영구적으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터 장관은 특히 무력 충돌 방지를 위해 ‘남중국해 행동강령’(COC)이 연내에 채택돼야 한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미 국방부 대변인 스티븐 워런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남중국해 난사군도(스프래틀리 제도)의 인공섬으로 무기를 반입한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중국의 무기 배치를 용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카터 장관의 발언이 전해지자 중국 외교부 화춘잉(華春瑩) 대변인은 “미국은 역사적 사실과 법리를 무시한 채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면서 “멋대로 입을 놀려 주변국을 이간질하지 마라”고 경고했다. 중국 인민해방군보는 “인민해방군은 미국의 무력 위협에 맞서 싸울 준비가 됐다”고 맞받아쳤다. 쑨젠궈(孫建國)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은 31일 연설에서 “우리의 권리 주장이 반박의 여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대단한 자제력을 보여왔다”면서 “미국은 중국의 주권행사에 간섭하지 마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6-0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