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월간 가계 소비지출이 다시 둔화하며 경기 회복세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9월 개인소비지출(PCE)이 한달 전에 비해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예상 증가율 0.2%를 밑도는 것이다.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에서 주요 물가지표로 간주한다. 하지만 올해 들어 1.2∼1.3%에 머물며 물가 목표치인 2%에 좀처럼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월간 PCE 증가율은 지난 5월 0.9%를 기록하며 소비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지난 6월부터 8월 사이에는 각각 0.3%와 0.3%, 0.4%의 증가율을 보이며 소비 증가 속도가 다소 느려지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9월 PCE 물가지수의 전년 동월대비 상승폭은 0.2%로 한달 전에 비해 0.1%포인트 낮아졌다. 음식료와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핵심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 9월에도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1.3%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달 소비 둔화가 내구재보다는 에너지관련 상품들의 소비 감소 때문이라는 해석이 강해 미국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연준의 판단을 조금이나마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미국 상무부는 지난 9월 개인소비지출(PCE)이 한달 전에 비해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예상 증가율 0.2%를 밑도는 것이다.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에서 주요 물가지표로 간주한다. 하지만 올해 들어 1.2∼1.3%에 머물며 물가 목표치인 2%에 좀처럼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월간 PCE 증가율은 지난 5월 0.9%를 기록하며 소비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지난 6월부터 8월 사이에는 각각 0.3%와 0.3%, 0.4%의 증가율을 보이며 소비 증가 속도가 다소 느려지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9월 PCE 물가지수의 전년 동월대비 상승폭은 0.2%로 한달 전에 비해 0.1%포인트 낮아졌다. 음식료와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핵심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 9월에도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1.3%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달 소비 둔화가 내구재보다는 에너지관련 상품들의 소비 감소 때문이라는 해석이 강해 미국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연준의 판단을 조금이나마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