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 돈 주지 말고, 자녀 입학 불허해야’ 스웨덴정부 주장 논란

‘거지 돈 주지 말고, 자녀 입학 불허해야’ 스웨덴정부 주장 논란

입력 2016-02-03 15:33
수정 2016-02-03 15: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시족 급증 대책 보고서 “공인 자선단체에 기부가 최선” 인권단체 “인권의식 부족한 황당하고 독특한 발상” 비판

스웨덴 정부가 길거리에서 거지에게 돈을 주지 말아야 하며, 거지 자녀들에겐 학교 입학도 불허해야 한다고 주장, 논란이 일고 있다.

스웨덴 정부의 ‘취약 유럽연합(EU) 시민 담당 조정관’ 마르틴 발프리드손은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외국인 취약자 대책 보고서를 펴내며 기자회견을 했다고 2일(현지시간) 유럽 전문 매체 유랙티브 등이 보도했다.

이는 가난한 동구권 유럽연합(EU) 회원국 출신 집시족(로마족)이 거리에서 구걸하는 일이 급증하자 내놓은 대책의 일환이다.

스웨덴 STV 방송에 따르면, EU 회원국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해와 구걸하는 거지 수는 지난해 봄 기준 3천300~4천100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전년 동기(800~2천명)에 비해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대도시에선 이주자의 정확한 추산이 어려워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부분 루마니아나 불가리아 출신 집시족이지만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등에서도 대거 몰려 오고 있으며 스웨덴 최북단 마을에 이르기까지 어느 곳에도 있다.

발프리드손 조정관은 보고서에서 이들에게 돈을 주면 집시가 더 많이 몰려오고, 장기적으로도 가난에서 탈출하는데도 도움이 않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돈을 주려면 공인된 자선단체, 특히 이들의 출신국가 구호단체에 기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권고했다.

나아가 집시족 걸인 자녀에게 학교에 다닐 자격을 줘서는 안된다면서, 취학을 허용하면 루마니아 등 자국에서의 학업을 중단시키고 스웨덴으로 데려오는 일이 잦아진다는 식의 논리를 폈다.

오사 레그네르 아동.노인.성평등부 장관 역시 “우리 모두는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긴 하지만 동냥해주는 것보다 루마니아나 불가리아의 구호단체들을 돕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해 스웨덴의 일부 정치인이 노르웨이 처럼 구걸행위 금지 법안을 추진했으나 양국 의회에서 부결된데 뒤이어 나온 것이다.

한편, 이 보고서에 대해 인권단체들은 “인권 의식이 부족한, 잘못된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스웨덴 인종차별 반대 단체의 토마스 함마르베르그 의장은 “정부 공식기구 책임자의 주장이라기엔 황당하며, 아주 독특한 발상”이라고 비꼬면서 “자선단체 기부든 걸인에게 직접 주는 것이든 다 권장할 만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집시 출신으로 스웨덴에 거주한 지 2년 된 플로린 류는 SVT방송에 “내 나라 구호기관들이 나를 도와준 일이 전혀 없다”면서 “내가 돈을 벌어 루마니아에 있는 가족을 돕는 게 낫다”고 말했다.

잘사는 복지국가인 스웨덴으로 가난한 EU 회원국 시민들이 대거 이주하고 있으며, 지난해 받아들인 중동 및 북아프리카 등 출신 난민신청자만 16만명이나 된다.

스웨덴의 난민 신청자 수는 인구 1백만명 당 5천700명이며, 이는 인구 규모 대비로 유럽에서 가장 많은 것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고덕비즈밸리 펜스 조정 민원 해결…상가 주택지 개방감 확보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5일 강동구 고덕동 고덕비즈밸리 일원을 다시 방문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민생현장을 점검하고, 최근 마무리된 메시 펜스 높이 조정 결과를 확인했다. 고덕비즈밸리는 서울 강동구 고덕동 345번지 일원에 위치한 복합기능 도시지원시설지로, 총면적은 약 23만 4000㎡(약 7만평)에 이르며 유통판매, 자족기능, 상업시설 등으로 구성된 준주거 및 근린상업지역이다. SH공사가 시행 중인 이 사업은 2013년부터 2026년까지 추진되며, 현재 이케아 입점과 JYP 본사 건립 등으로 동남권 중심업무 및 유통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민원은 고덕비즈밸리로6길 인근 단독주택용지 주변에 높게 설치된 펜스가 개방감을 저해한다는 주민들의 지속적인 의견 제기에서 출발했다. 해당 지역은 고덕비즈밸리 근린공원 3호와 인접해 있어 공원과의 연계성 확보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도가 높았다. 이에 따라 박 의원은 3월 24일 민원 접수를 시작으로 4월 8일, 5월 28일까지 총 3차례에 걸쳐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SH공사 및 서울시의회 현장민원담당관, 강동구 푸른도시과의 협의회를 통해 현실적인 조정 방안을 논의해왔다. 논의 결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고덕비즈밸리 펜스 조정 민원 해결…상가 주택지 개방감 확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