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대학, 상호소통형 ‘미녀로봇’ 선보여…지혜·미모 겸비

中 대학, 상호소통형 ‘미녀로봇’ 선보여…지혜·미모 겸비

입력 2016-04-18 17:33
수정 2016-04-18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의 한 대학 연구팀이 상호소통형 미녀 로봇을 선보였다.

18일 중국 신경보와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저장(浙江)성 허페이(合肥)의 중국과학기술대학 연구팀은 ‘자자’(佳佳)를 공개했다.

이 로봇은 미모와 지혜를 겸비한 ‘여신 로봇’으로 평가받는다.

이 대학에 재학하는 미모의 학생들이 로봇의 원형이다.

“안녕하세요. 저는 자자 입니다” 한눈에 시선을 사로잡은 이 로봇이 주위에 몰려든 사람들에게 인사를 건넸다.

자자는 “사진을 찍기 위해 너무 가까이 접근하지 마세요. 제 얼굴이 너무 크게 보일 수 있어요”라는 멘트도 날렸다.

이 대학 연구팀은 3년간의 연구개발을 거쳐 자자를 탄생시켰다. 자자는 말을 할 수 있고 미세한 표정을 지을 수 있으며 입술을 움직이고 몸을 이동할 수 있다.

미녀로봇 개발을 이끈 천샤오핑(陳小平) 교수는 이전 상호소통형 로봇과 비교하면 자자는 안구가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입술 움직임과 조화롭게 말을 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나 자자는 울거나 웃을 수 없으며 이와 관련해선 추가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천 교수는 밝혔다.

자자는 21∼23일 상하이(上海)에서 열리는 ‘2016 국제기술박람회’에서 공식 선보일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