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에게 환멸을 느끼며 그의 기용을 후회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칼럼니스트인 엘리 레이크는 ‘워싱턴은 맥매스터 장군을 좋아한다. 그러나 트럼프는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프로페셔널 군 장교인 맥매스터가 트럼프를 읽는 데 실패했다”며 “맥매스터는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질문할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은 물론 심지어 종종 설교까지 한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트럼프는 이런 맥매스터 보좌관 앞에서 “내 전반적 정책을 과소평가한다”며 불평을 감추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특히 트럼프는 맥매스터 보좌관이 한국의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통화해 한국이 10억 달러의 사드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겠다는 자신의 위협은 미국의 공식입장이 아니라고 말했다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를 읽은 후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사실을 전한 백악관 관리들은 트럼프가 맥매스터 보좌관과의 전화통화에서 고함을 지르며 한국이 적정 몫을 부담하도록 만드는 노력을 깎아내렸다고 비판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27일 취임 100일을 앞두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사드 비용을 내는 것이 적절하다고 한국 측에 통보했다”며 “사드는 10억 달러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사흘 뒤 맥매스터 보좌관과 김 실장이 전화협의를 통해 “기존 합의를 재확인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맥매스터 보좌관은 이튿날 ‘사드 비용 재협상 가능성’ 발언을 다시 내놓아 논란은 재점화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