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테르테 ‘돌직구’…“차이나머니 기대” vs “美,전리품 돌려달라”

두테르테 ‘돌직구’…“차이나머니 기대” vs “美,전리품 돌려달라”

입력 2017-07-25 11:06
수정 2017-07-25 1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필리핀 대통령 국정연설서 中에 고마움, 美에 식민시절 고통 표시 ‘차별’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서 중국에는 호감을, 미국에는 반감을 다시 한 번 극명하게 드러냈다.

두테르테 대통령의 직설적인 언행에 동남아시아의 지정학적 요충지인 필리핀을 자기편으로 서로 끌어당기려는 두 강대국의 처지가 대비된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24일 오후 의회에서 연례 국정연설을 할 때 중국이 필리핀 수도 마닐라의 파시그 강에 공짜로 다리 2개를 지어주기로 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중국에 고마움을 표시했다.

그는 자신의 베이징 방문 때 중국이 필리핀에 대한 자금 지원 의사를 보였다고 거론하며 “필리핀이 새로운 공항들을 지으려고 하는데 중국으로부터 일부 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남중국해의 긴장 완화를 이끄는 양자 대화 기구를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있다”며 양국의 친밀감을 과시했다.

이날 국정연설 행사에는 필리핀 주재 각국 대사가 초청됐으며 자오젠화(趙鑑華) 중국대사와 성 김 미국대사도 참석했다.

반면 두테르테 대통령은 미국을 향해서는 과거 식민시절 미군의 학살사건을 끄집어내며 필리핀에서 가져간 전리품을 돌려달라고 촉구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 사건은 미군이 1901년 필리핀 동사마르 주의 발랑기가 마을에서 주민들의 공격을 받아 부대원 48명이 사망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주민 2천500여 명을 죽인 것을 가리킨다.

미군은 당시 주민들이 공격 신호로 사용한 성당의 종 3개를 전리품으로 가져갔으며 현재 2개는 미국에, 1개는 한국의 미군기지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이 종들은 필리핀 소유로, 국가 유산”이라며 “우리에게 돌려달라”고 말했다. 이를 듣던 김 미국대사는 무표정한 반응을 보였다.

2014년에는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의 필리핀 방문을 앞두고 이 종들의 반환을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운동이 벌어졌지만, 미국의 반응은 없었다.

작년 6월 말 취임 이후 ‘탈미 친중’ 외교노선을 걷는 두테르테 대통령의 이런 행보에 중국은 웃지만 미국은 속앓이를 하는 모습이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