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스텔스폭격기 B-2스피릿 탐지위성 개발중…게임체인저되나

中, 美스텔스폭격기 B-2스피릿 탐지위성 개발중…게임체인저되나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1-27 11:29
수정 2017-11-27 1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자광학 ‘고스트 이미징’ 적용…“성공시 군사기술 역사 바꿀 것”

중국이 야간에 비행하는 스텔스 폭격기마저 찾아낼 수 있는 최첨단 첩보위성을 개발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7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강광(强光)광학 중점실험실은 2020년까지 이러한 첩보위성의 시제품을 개발한 후 2025년까지 우주공간에서 테스트를 마치고, 2030년에는 대규모로 배치할 계획이다.

중국의 저명한 양자광학 물리학자 한션성(韓申生)이 이끄는 이 개발팀은 ‘양자 고스트 이미징’(Quantum Ghost Imaging)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적용해 이 첩보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목표물에서 나오는 극소량의 빛뿐 아니라, 그 빛이 주위 환경에서 나오는 빛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탐지하는 기술이다.

이를 적용하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실전 배치된 장거리 전략 스텔스 폭격기인 미군의 ‘B-2 스피릿’마저 탐지할 수 있다.

첩보위성의 고해상도 광학 카메라를 피하고자 주로 야간에 비행하는 B-2 스피릿은 특수 도료를 표면에 칠해 적의 레이더파를 흡수하고, 발열을 억제하는 기술을 적용해 적외선 탐지기마저 피할 수 있다.

이를 탐지하기 위해 고스트 이미징 첩보위성은 한 쌍의 레이저 광선을 쏴서 목표물과 그 주변을 비춘다. 여기서 얻어진 정보에 양자 물리학의 복잡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목표물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검은 스크린 위에 하얀 점으로 표시되는 기존 레이더보다 훨씬 실물에 가까운 이미지이다.

더구나 이 기술을 이용하면 목표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마저 분석할 수 있어 유인용 가짜 전투기나, 위장막 아래 감춰진 미사일 발사대 등을 간파할 수 있다.

중국 연구팀은 고스트 이미징 기술을 적용한 지상 시스템을 2011년 개발했으며, 미 육군연구실험실(ARL)이 2014년 비슷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팀을 이끄는 궁원린은 “우리는 이미 지상에서 그들(미국)을 이겼으며, 우주공간에서 다시 한 번 이길 것”이라고 자신했다.

베이징사범대학의 양자광학 교수 슝쥔은 “고스트 이미징 첩보위성의 개발은 군사기술의 판도를 뒤흔드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이의 성공 여부는 정부가 얼마나 돈을 쏟아붓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는 고스트 이미지 첩보위성의 성공 여부가 극도로 작은 빛의 변화를 잡아낼 수 있는 센서와 우주공간에서 지상 가까이까지 닿을 수 있는 강력한 레이저의 개발에 달려있으며, 여기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는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양자위성을 쏘아 올려 관련 실험 데이터와 공학적 경험을 쌓았다”며 이것이 고스트 이미징 첩보위성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지난해 8월 세계 첫 양자위성 ‘묵자’(墨子)호를 발사했으며, 이 위성을 활용한 양자통신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