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의 회원국인 브라질이 유럽연합(EU)과 개별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추진한다.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안토니오 파트리오타 브라질 외무장관은 이달 중 브라질이 개별국 차원에서 EU와 협상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메르코수르-EU 무역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브라질은 1999년부터 메르코수르 차원에서 EU와 FTA 체결을 전제로 협상을 진행해왔다. 메르코수르는 브라질 외에 아르헨티나·베네수엘라·파라과이·우루과이로 구성된, 국내총생산(GDP) 합계가 3조 달러(약 3339조원)가 넘는 세계 4위의 무역블록이다.
메르코수르의 농산물 수입 관세인하 주장과 EU의 공산품 및 서비스 시장 개방 확대 요구가 맞서면서 협상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브라질이 개별 협상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해 EU가 오는 2014년부터 개발도상국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없애거나 세율을 낮추는 일반특혜관세(GSP) 적용 대상에서 브라질을 제외한데다, 지난해 0.9%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한 브라질 정부가 국내 경제 활성화의 필요성을 느낀 것도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안토니오 파트리오타 브라질 외무장관은 이달 중 브라질이 개별국 차원에서 EU와 협상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메르코수르-EU 무역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브라질은 1999년부터 메르코수르 차원에서 EU와 FTA 체결을 전제로 협상을 진행해왔다. 메르코수르는 브라질 외에 아르헨티나·베네수엘라·파라과이·우루과이로 구성된, 국내총생산(GDP) 합계가 3조 달러(약 3339조원)가 넘는 세계 4위의 무역블록이다.
메르코수르의 농산물 수입 관세인하 주장과 EU의 공산품 및 서비스 시장 개방 확대 요구가 맞서면서 협상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브라질이 개별 협상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해 EU가 오는 2014년부터 개발도상국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없애거나 세율을 낮추는 일반특혜관세(GSP) 적용 대상에서 브라질을 제외한데다, 지난해 0.9%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한 브라질 정부가 국내 경제 활성화의 필요성을 느낀 것도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3-08-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