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선언한 오바마·샌더스 입장 달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한 미국 민주당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둘러싸고 갈팡질팡하고 있다.클린턴이 지난해 10월 협상이 타결된 TPP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혔지만 그의 측근이 최근 클린턴이 대통령이 되면 TPP를 지지할 것이라고 언급해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민주당은 또 최근 확정한 대선 정강에서도 TPP에 대한 반대 입장을 완화하면서, TPP를 추진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TPP를 반대하는 클린턴의 경선 라이벌 버니 샌더스 버몬트 상원의원 사이에서 오락가락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민주당 전당대회 사흘째인 27일(현지시간) 존 포데스타 클린턴 캠프 선거대책본부장은 전대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녀(클린턴)는 그 일(TPP)에 반대하고, 그 점은 대선 전이든 후든 마찬가지임을 분명히 말한다”며 “클린턴은 TPP 재협상에도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브라이언 팰런 캠프 대변인도 이날 외신기자센터 주최 언론브리핑에서 TPP에 대한 클린턴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그녀는 지금 TPP를 반대하고 내년 1월 대통령으로 취임할 때도 반대할 것이다. 그녀는 TPP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어설프게 손보는 것에 관심이 없고 TPP를 재협상하는 것도 그녀의 의제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클린턴 캠프 인사들이 이날 동시에 TPP에 대한 입장을 거듭 확인한 것은 클린턴의 오랜 측근인 테리 매컬리프 버지니아 주지사의 전날 인터뷰 때문이다. 매컬리프는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TPP에 대해 “그녀(클린턴)는 그 일(TPP)를 지지하고 있고, 몇 가지 고치고 싶어하는 부분이 있다”며 “대선이 끝나고 무역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하면 세계경제를 건설하기 위한 길을 가기 위해 고쳐야 하는 두어 가지 문제점에 대해 사람들이 이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린턴이 백악관에 입성하면 결국 TPP를 받아들일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이런 인터뷰 보도 이후 논란이 일자 매컬리프 주지사 대변인은 “그는 클린턴이 다른 길을 찾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며, 클린턴이 실제로 입장을 바꿀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에릭 슐츠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기준을 높인 TPP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의회 비준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힌 반면, 샌더스는 전날 TPP의 의회 비준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폴리티코는 “민주당이 TPP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과 샌더스 사이에 껴 있는 상황”이라며 “이는 보호무역 의제를 선점한 공화당에 빌미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당장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클린턴은 TPP에 찬성했다가 반대하는 등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TPP가 좌초되면 미국 주도의 세계화도 종말을 맞게 될 것”이라며 “아시아의 미국 동맹국들은 경제적으로 중국에 더 의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필라델피아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서울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07-2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