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은 그동안 북·중 경협을 총괄해 왔으며 중국 고위층과 연결되는 대표적인 친중 인사다. 2011년 김정일 방중을 계기로 본격화된 황금평 경제특구와 나선특구 개발을 진두지휘했다. 지난해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로 북·중 관계가 얼어붙었을 때는 중국을 방문해 후진타오(胡錦濤) 당시 국가주석의 환대를 받으며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기도 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구동성으로 그의 실각이 북·중 관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김정은 정권이 안정적이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대한 중국의 지지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진찬룽(金燦榮) 교수는 “중국이 우려하는 가장 큰 이슈는 북한의 정권 붕괴다. 이번 사건이 김정은 정권의 불안을 의미하는 것만 아니라면 북·중 관계는 문제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국 언론들은 “평양 시내 분위기는 평소와 같다. 모든 것이 정상적이고 평온하다”며 장성택 관련 보도에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환구시보는 북한 박봉주 총리의 현지 시찰 보도가 나오고 있듯 “북한의 대외경제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주장했다. 박 총리는 ‘장성택 라인’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중국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구동성으로 그의 실각이 북·중 관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김정은 정권이 안정적이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대한 중국의 지지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진찬룽(金燦榮) 교수는 “중국이 우려하는 가장 큰 이슈는 북한의 정권 붕괴다. 이번 사건이 김정은 정권의 불안을 의미하는 것만 아니라면 북·중 관계는 문제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국 언론들은 “평양 시내 분위기는 평소와 같다. 모든 것이 정상적이고 평온하다”며 장성택 관련 보도에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환구시보는 북한 박봉주 총리의 현지 시찰 보도가 나오고 있듯 “북한의 대외경제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주장했다. 박 총리는 ‘장성택 라인’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12-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