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 유람선 참사 사망·실종 440여명
7일 오전 9시. 사고 현장에 모인 선박들이 일제히 뱃고동 소리를 울렸다. 3분 동안 계속된 뱃고동 소리는 구조 종결과 추모 개시를 알리는 신호였다. 456명을 태우고 가던 유람선 ‘둥팡즈싱’(東方之星)호가 후베이성 젠리현 양쯔(揚子)강에서 침몰한 지 불과 137시간 만이었다.
사고 발생 7일째인 7일부터는 추모 모드로 들어갔다. 사망 이후 7일째 되는 날 제사를 지내는 ‘7일제’(頭七·49제 중 첫 제사)와 맞아떨어져 전국의 추모 열기도 뜨거웠다.
언론·출판 총괄기구인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은 이날부터 이틀 동안 황금시간대 오락 프로그램 방영을 중단시켰다. 일부 포털 사이트는 홈페이지를 흑백으로 장식했다.
정부가 빠르게 결정하고 과감하게 행동하는 사이 유족들은 철저히 배제됐다. 구조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혀 듣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 가보지도 못했다. 당국은 “살아 있을 수도 있다”는 유족들의 외침을 ‘생존 가능성 없음’이라고 간단히 뭉갰다. 유족이 정부에 대한 불만을 토로할 곳은 외신뿐이었다. 외신이 이를 보도하자 환구시보 등 관영매체는 “서구 언론이 유족의 슬픔을 팔아 중국을 이간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날 “유족들이 원하는 것은 정확한 사고 원인과 책임 규명, 그리고 처벌이지만 어느 것도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금까지 사고 원인이나 선박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단 하나의 자료도 내놓지 않고 있다. 더욱이 둥팡즈싱호에는 통신 내용, 항해 시간, 선박 위치, 기상 상태, 기관 상태 등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항해자료 기록장치’(블랙박스)가 아예 없어 유족들은 가족이 왜 죽었는지 영원히 모를 가능성이 커졌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6-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