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부족 통해 본 행복의 의미

원시부족 통해 본 행복의 의미

입력 2010-03-09 00:00
수정 2010-03-09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NGC 12일까지 방송

최근 아마존 원시림에서 살아가는 조에족과 무너져 가는 원시림을 조명한 MBC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첨단을 달리는 21세기에, 과거를 살아가는 또 다른 원시부족을 만나 보는 것은 어떨까.

이미지 확대
시베리아 북극권에 사는 코미족이 순록 썰매를 몰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 제공
시베리아 북극권에 사는 코미족이 순록 썰매를 몰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 제공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인 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NGC)이 테마기획으로 ‘원시부족을 만나다’를 마련했다. 12일까지 오후 11시 방송된다. 자연과 하나가 되어 살아가는 원시부족의 삶을 통해 문명의 참된 의미를 되돌아보자는 취지다.

9일에는 아프리카로 떠나 케냐의 포콧족을 만나본다. 거친 전사, 또는 가축 도둑으로 알려졌으며 이웃 부족과 끊임없이 전쟁을 치르는 부족이다. 방대하고 건조한 케냐 북쪽 지방에서 자신들만의 고대 의식을 유지하며 살아간다. 그곳 청년들은 해마다 장마가 있을 때 어른, 즉 전사가 되기 위해 사파나 의식을 치른다.

10일에는 추운 시베리아의 북극권에서 5000여마리의 순록을 키우는 코미 족을 만난다. 이들은 ‘츔’이라는 큰 천막에 함께 모여 살고, 남자들이 가축을 돌보는 동안 여자들이 집안일을 하는 전형적인 가부장 사회를 유지하고 있다.

11일에는 남태평양 섬나라를 살아가는 남자들의 삶을 접할 수 있다. 바누아투 군도의 외딴 섬 펜테코스트에서 진정한 남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발목에 덩굴 줄기를 묶고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나골’을 통해 용기를 입증해야 한다. 멜라네시아 파푸아뉴기니의 탐빈에선 오로지 혼자 힘으로 상어를 잡아야 남자 대접을 받는다.

12일은 아프리카 남에티오피아를 찾는다. 오모 강 근처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하마르족은 자신들의 언어와 의식을 가지고 있다. 여기저기 흩어져 살다가 매주 시장이 열리면 한 곳에 모여 물건을 바꾸고 이야기를 나눈다.

NGC 관계자는 “대개 원시 부족 사회에는 생명을 위협하는 오염도, 욕심이 만들어 낸 분쟁도, 빈부 차이도 없다.”면서 “자연과 완벽한 조화를 이뤄가는 순수한 삶을 통해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3-0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