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7일 EBS ‘다큐프라임’
조선시대에도 파티플래너와 연예기획자가 있었다?
조선후기 최고의 기생으로 꼽히는 밀양기생 운심. 활기차고 강력한 검무를 선보이는 당찬 예능인이었다.
이 놀음을 주관하는 이는 바로 ‘대전별감’. 지금으로 치면 파티플래너쯤 된다. 연회 행사장을 꾸미고, 기생을 불러 가무를 제공하는 등 행사에 참석한 이들이 모두 흥겹게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기에 이들은 기생들에게 가장 큰 권력적인 존재였고, 이들이 벌이는 놀이판 ‘승전놀음’은 당대의 이름있는 기생, 명창, 악공이 총출동하는 최고의 놀음으로 꼽혔다.
기생의 패션도 눈길을 끈다. 요즘 연예인들 트렌드가 하의실종이라면, 조선 기생들의 트렌드는 ‘하의풍만’쪽이었다. 저고리는 최대한 작게 입고 치마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요즘처럼 대놓고 노출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나름대로 섹시한 느낌을 주기 위해 선택한 방식이다. 그런데 이게 인기를 끌어서 그만 여염집 아낙들도 이런 패션을 따라하기 시작한다. 이를 본 실학자 이덕무는 “저고리가 워낙 작아 가슴에 피도 안 통할 지경”이라고 개탄했다.
번창하는 유흥가엔 조폭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마련. 조선에도 ‘검계’(劍契)와 ‘왈짜’라는 게 있었다. 거의 군사조직 수준의 규율을 갖춘 검계나 왈짜는 몸에 칼자국이 없으면 가입할 수 없었다. 삿갓을 푹 눌러쓴 채 뚫어 놓은 구멍으로 사람들을 내려다봤다. 이들은 도박장이나 기생들을 관리했고, 이 권리를 두고 싸움질을 일삼았다. 재밌는 건 이들이 호가(豪家·잘살거나 이름 있는 집안)의 자식들이라 관에서도 함부로 손대지 못했다는 것이다.
도박장 풍경도 지금과 큰 차이가 없다. 정약용마저도 ‘목민심서’에다 재상이나 승지에까지 이른 자들이 ‘바둑, 장기, 쌍륙, 투패, 강패, 척사’ 같은 노름에 미쳐 있다고 비판할 정도였다. 실제 18세기 투전판 최고의 ‘타짜’로 꼽히는 자로 원인손이 있었는데, 그는 효종의 딸 경숙옹주의 손자이자 병조·이조판서를 지낸 원경하의 아들이었다.
모두 3부로 구성된 ‘한양의 뒷골목’은 이런 얘기들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드라마화했다. 한양의 뒷골목을 어슬렁대는 검객 표철주, 그리고 조선판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한 포도대장 장붕익의 대결로 그려 낸 것. 또 시대 배경을 풀어주는 내레이션도 판소리로 만들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4-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