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르비의 파리오케스트라 백건우와는 어떤 호흡을

예르비의 파리오케스트라 백건우와는 어떤 호흡을

입력 2011-11-28 00:00
수정 2011-11-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2~3일 슈만·라벨 콘체르토

샤를 뮌슈(1891~1968), 게오르그 솔티(1912~1997),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1908~1989), 다니엘 바렌보임의 공통점은 무얼까. 명지휘자라고 답한다면 절반만 맞혔다. 정답은 1967년 재창단된 프랑스 파리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들이다.

이미지 확대
크리스토퍼 에센바흐의 바통을 이어받아 지난해 음악감독으로 취임한 이가 에스토니아 출신 지휘자 파보 예르비(왼쪽·49)다. 2010년 파리오케스트라를 맡기 직전까지 미국 신시내티 심포니를 이끌었다. 2001년 당시 무명에 가깝던 신시내티 심포니를 미국 5대 오케스트라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를 연상시키는 강렬한 인상. 하지만 칭찬과 소통의 리더십으로 유명하다. 공연이 끝나면 지휘자 방을 개방해 누구나 찾아올 수 있게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예르비가 이끄는 파리오케스트라가 새달 2~3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무대에 선다. 2007년 이후 4년 만이다. 라디오프랑스 오케스트라와 쌍벽을 이루는 파리오케스트라인 만큼, 화려한 색채의 유화가 눈앞에 펼쳐진 듯한 특유의 색깔을 직접 확인할 기회다.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30여년간 프랑스에서 음악 활동을 한 피아니스트 백건우(오른쪽)와의 호흡이다. 1972년 뉴욕에서 동양인 최초로 라벨 피아노 전곡을 연주할 만큼 백건우는 ‘라벨 전문가’다. 2일 슈만의 피아노 콘체르토도 기대되지만, 3일 라벨의 피아노 콘체르토에 더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6만~27만원. 1577-5266.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1-2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