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 불교공양구 대량 출토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 불교공양구 대량 출토

입력 2014-08-21 00:00
수정 2014-08-21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교의식용 금강령·금강저·향로·발우 등 국보·보물급 66건 77점 ”11세기 이전 작품으로 봐야 할 듯”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들인 조광조와 송시열을 배향한 서울 도봉구 도봉서원이 있던 곳에서 고려시대 각종 불교의식이나 공양에 사용한 금강령·금강저·향로·발우 등 66건 77점에 달하는 국보 혹은 보물급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이미지 확대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쏟아져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쏟아져 서울 도봉서원터 발굴조사 결과 수습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일괄품.
서울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이미지 확대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금강령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금강령 서울 도봉서원터 발굴조사 결과 수습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중 금강령.
서울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대거출토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대거출토 서울 도봉서원터 발굴조사 결과 대거 출토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 이들 공양구는 청동솥에 담긴 상태로 발견됐다.
서울문화유산연구원 제공
문화재청과 발굴조사단인 서울문화유산연구원(원장 김일규)은 2012년 도봉서원터 발굴조사 결과 수습한 이들 불교용구 관련 유물 일체를 21일 오전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공개했다.

연구원은 서울특별시기념물 28호인 ‘도봉서원과 각석군(刻石群)’ 복원정비 계획에 따라 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2년 5~9월 본격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도봉서원이 조선 초기까지 존재한 사실이 확인되는 영국사(寧國寺)라는 사찰터에 건립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조사단은 도봉서원 터 중심을 이루는 제5호 건물터(동서 12.63m, 남북 12.74m)가 원래는 영국사라는 사찰의 중심 건축물인 금당 혹은 대웅전을 그대로 활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이 건물터 아래에서는 영국사를 세울 당시에 부처를 공양하고자 묻었거나, 한꺼번에 다른 이유로 묻었을 것으로 보이는 불교 용구를 넣은 청동솥이 발견됐다.

이에서 수습한 유물에는 불교 밀교 의식에서 중요한 법구(法具)들로 무기 모양인 금동제 금강저(金剛杵)와 이런 무기에 방울을 단 금강령(金剛鈴)을 비롯해 청동제 뚜껑항아리(有蓋壺)와 뚜껑합(有蓋盒), 현향로(懸香爐)와 부형대향로(釜形大香爐. 솥모양 향로), 수각향로(獸脚香爐. 짐승 다리 모양 받침대를 갖춘 향로) 등의 다양한 향로가 들어 있다.

또 세숫대야 형식인 청동유물인 세(洗), 향 피우는 그릇인 향완, 굽달린 사발 모양 그릇인 대부완, 발우(鉢盂), 대접, 숟가락과 같은 다른 청동유물도 발견됐다.

조사단은 수습 유물 중 금강령에는 오대명왕상(五大明王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함께 배치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이런 문양이 국내에서 발견되기는 처음이다.

특히 금강령은 그동안 발견되나 각지에 소장된 고려시대 동일한 유물 중에서는 조각 혹은 제작 수법이 가장 뛰어난 수작으로 평가된다.

오대명왕령이란 불법을 수호하는 신들인 부동명왕(不動明王)과 항삼세명왕(降三世明王), 군다리명왕(軍茶利明王), 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 금강야차(金剛夜叉. 또는 오추사마<烏芻沙摩>)명왕을 조각한 금강령을 말한다.

사천왕령은 불국토를 네 방향에서 지키는 신들인 지국천(持國天), 광목천(廣目天), 증장천(增長天), 다문천(多聞天)을 표현한 것이다.

조사단은 이들 불교공양구가 영국사와 관련된 유물임은 확실하지만 고려시대에 이미 존재가 확인되는 인근 도봉사(道峯寺)라는 사찰과 더욱 밀접한 관련을 지닐 것으로 보았다. 이번에 발견된 청동제기에서 ‘도봉사’라고 새긴 글자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국사가 원래는 고려 초기에 모습을 드러내는 도봉사라는 사찰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금속공예사 전공인 주경미 박사는 “일부 유물에서는 8~9세기 이른 시기 특징을 보이는 것도 있어 공양구 대부분은 11세기 이전작품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한다”면서 “이들 공양품을 담은 청동솥은 거적 같은 데다가 싼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일부러 묻은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불교미술사 전공인 최응천 동국대 교수는 “전반적으로 보아 청주 사뇌사터 출토 고려시대 불교공양구들과 대단히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면서 “(제작시기는) 12세기 이전으로 올라갈 듯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문화재청과 조사단은 이들 유물을 2012년 발굴 당시 공개했어야 했지만 조사를 거의 완료하고 철수하려는 시점에 현장 정리과정에서 발견된 데다 금속 유물이라 보존조치가 시급해 그것을 완료한 지금 공개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