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이 7일 처음으로 공개한 ‘조선동안’(朝鮮東岸) 해도. 1893년 일본 수로부가 간행한 지도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일본 수로부는 러시아와 영국의 해도를 바탕으로 1875년 ‘조선동해안도’를 간행했으며 1876년과 1889년 두차례 개정을 거쳐 1893년 ‘조선동안’을 펴냈다. 이 과정에서 울릉도는 ‘다즐레도’, ‘송도’(松島), ‘울릉도·송도’(鬱陵島·松島)로 표기가 바뀌면서 해도에 표시됐다. 독도는 ‘올리부차조·메넬라이초’에서 ‘리앙쿠르암’으로 바뀌어 표시됐다.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이 7일 처음으로 공개한 ‘조선동안’(朝鮮東岸) 해도. 1893년 일본 수로부가 간행한 지도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일본 수로부는 러시아와 영국의 해도를 바탕으로 1875년 ‘조선동해안도’를 간행했으며 1876년과 1889년 두차례 개정을 거쳐 1893년 ‘조선동안’을 펴냈다. 이 과정에서 울릉도는 ‘다즐레도’, ‘송도’(松島), ‘울릉도·송도’(鬱陵島·松島)로 표기가 바뀌면서 해도에 표시됐다. 독도는 ‘올리부차조·메넬라이초’에서 ‘리앙쿠르암’으로 바뀌어 표시됐다.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제공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이 7일 처음으로 공개한 ‘조선동안’(朝鮮東岸) 해도. 1893년 일본 수로부가 간행한 지도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일본 수로부는 러시아와 영국의 해도를 바탕으로 1875년 ‘조선동해안도’를 간행했으며 1876년과 1889년 두차례 개정을 거쳐 1893년 ‘조선동안’을 펴냈다. 이 과정에서 울릉도는 ‘다즐레도’, ‘송도’(松島), ‘울릉도·송도’(鬱陵島·松島)로 표기가 바뀌면서 해도에 표시됐다. 독도는 ‘올리부차조·메넬라이초’에서 ‘리앙쿠르암’으로 바뀌어 표시됐다.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제공
2014-10-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