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 살인사건서 외려 여성폭력 끝낼 가능성 확인”

“강남역 살인사건서 외려 여성폭력 끝낼 가능성 확인”

입력 2016-06-08 23:11
수정 2016-06-08 2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레나타 살레츨 “‘불안’ 동력삼아 사회변화 이끌어야”

“한국 여성이 경험한 불안에서 여성의 신체에 대한 폭력을 종식시킬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슬로베니아 출신 사회학·정신분석학자인 레나타 살레츨 미국 예시바대 교수는 강남역 살인사건과 이후 추모 분위기에서 사회변화의 단초를 봤다고 했다.

살레츨 교수는 8일 서강대 다산관에서 열린 특별강연에서 “사건이 나에게도 벌어질 수 있다는 불안으로 인한 동요다. 살해당한 여성과 자기를 동일시한 건 자신이 가진 딜레마를 사건에 투영해 풀고자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불안을 중심으로 현대사회를 관찰한 저서 ‘불안들’로 한국에도 잘 알려졌다. 불안을 반드시 제거해야 할 대상이 아닌 인간의 본질적 조건으로 받아들이면서, 오히려 불안 심리를 이용해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주의를 비판한다.

강남역 살인사건 역시 여성이 느끼는 불안을 동력으로 삼아 여성 상대 폭력·혐오에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고 봤다.

살레츨 교수는 “권력구조 자체가 굉장히 불안하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또다른 ‘긍정적 불안’의 사례로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들었다. 협상 과정에서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ISDS)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는 “협상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드러나게 됐다. 이런 형태의 불안은 증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살레츨 교수는 현대사회의 불안을 ‘선택 이데올로기’와 연결지어 설명했다. 그는 후기 자본주의의 주된 이데올로기를 ‘선택’, 즉 무엇이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환상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실제로 선택지는 제한돼 있을뿐더러 책임을 개인에게 물어 실패에 대한 죄책감과 불안을 가중시킨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선택이라는 이데올로기는 사회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아주 효과적으로 봉쇄하는 역할을 해왔다”며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하려는 노력이 일중독·거식증·과식증 같은 ‘자기파괴’로까지 이어진다고 우려했다.

그는 “개인적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선택에 주목해야 한다. 어떤 사회 조직을 원하는지 질문하는 게 우리의 무지를 극복할 방법”이라고 말했다.

살레츨 교수는 마르크스주의와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계승한 이른바 ‘슬로베니아 학파’로 분류된다. ‘위험한 철학자’로 불리며 대중적 인기도 얻은 슬라보예 지젝이 슬로베니아 학파의 일원이다.

이날 특강은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와 출판사 후마니타스가 마련했다. 살레츨 교수는 이달 3일 서울시립대에서 열린 도시인문학 국제학술대회 참석해 ‘테러의 시대, 도시의 불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관내 학교 급식 부족 민원 신속하게 점검 및 재발방지 주문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및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지난달 16일 한 학생으로부터 학교 급식이 부실하게 제공됐다는 제보를 받고 서울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급식관리 관계자를 통해 현장을 파악하고 재발방지를 주문했다. 김 의원에게 접수된 급식 민원은 당일 제공되어야 할 메뉴 중 주찬 한 가지가 배식되지 않았고 나머지 급식도 만족스럽지 못해 제기된 민원이었다. 더욱이 급식 사진은 보통 학교 홈페이지에 올라오는데, 해당 급식 사진은 올려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평생교육건강과에서 학교를 방문해 해당일 급식 제공 상황을 파악한 결과 체육관에서 구기 경기를 늦게 마친 30여 명의 학생들을 급식실에서 확인하지 못하고 이미 배식한 학생들에게 추가 배식을 해 해당 메뉴가 부족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홈페이지에 올리는 사진 또한 해당 메뉴가 부족하여 촬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재발방지를 위해 체육관 수업 등 변동이 발생할 때는 교무팀과 급식실이 소통하고 협력하여 학생들 급식에 차질이 없도록 지도했으며 배식 후가 아닌 배식 전에 급식 사진을 촬영해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을 권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관내 학교 급식 부족 민원 신속하게 점검 및 재발방지 주문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