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블로그] 셰익스피어·세르반테스 두 천재 제삿날이라고?

[문화계 블로그] 셰익스피어·세르반테스 두 천재 제삿날이라고?

입력 2010-04-22 00:00
수정 2010-04-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3일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셰익스피어(1564~1616)는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 19세기 영국의 역사학자인 토머스 칼라일이 ‘영웅 숭배론’에 쓴 얘기입니다. 그 어떤 물질적 이득보다 문화예술이 중요함을 강조한 말입니다. 물론 제국주의의 오만함을 드러낸 발언이라며 훗날 비판받기는 했죠.

그런데 스페인에서는 ‘우리는 그를 셰익스피어와도 안 바꾼다.’고 자랑하는 작가가 있습니다. 바로 ‘돈키호테’를 쓴 세르반테스(1547~1616)죠. 유럽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작가로 꼽기도 했습니다.

●사망 연월일까지 똑같은 두 천재작가

두 작가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사망연도를 보고 이미 짐작하셨나요? 두 사람은 같은 해 세상을 떴습니다. 심지어 날짜까지 똑같습니다. 4월23일입니다. 세계가 ‘책의 날’로 지정한 것은 어찌보면 필연이겠죠.

유네스코는 1995년 총회에서 이 날을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로 정했습니다. ‘저작권의 날’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의미심장하죠. 당장 돈 몇 푼이 궁했던 세르반테스는 ‘돈키호테’를 출판사에 넘기면서 판매부수별 수익계약이 아닌, 정해진 계약금만 받았습니다. 이후 온갖 가명(假名) 작가들의 ‘돈키호테 속편’도 넘쳐났습니다. 책이 날개돋친 듯 팔렸지만 정작 세르반테스는 저작권 대접은커녕 평생 가난을 면치 못했죠.

●돈 궁하던 세르반테스 때문에 저작권의 날?

어쨌든 책의 날 행사가 세계 각국에서 풍성합니다. 우리나라도 한국출판인회의, 한국서적경영인협의회가 동네 책방살리기 운동인 ‘작은 서점은 나의 정겨운 서재’ 캠페인을 갖습니다. 전국 60여곳의 중소 서점은 책값을 절반으로 깎아주고 장미꽃을 선물합니다. 간행물윤리위원회는 23일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입원 어린이 낭독회를 여는 데 이어 ‘손 안 애서(愛書)’라는 이름으로 오는 11월까지 전국 59곳에서 낭독회를 쭉 이어간다네요.

그런데 글로벌 스탠더드(?)와 달리 우리만의 ‘책의날’이 별도로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지요. 10월11일입니다. 1251년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이 완성된 날입니다. 장장 240년에 걸쳐 제작된, 한국의 인쇄술과 출판술의 수준을 아시아 곳곳에 떨친 놀라운 역사(役事)였죠. 1987년 ‘한국판 책의 날’이 지정된 이후 이를 기념하는 행사 또한 비중 있게 열리고 있습니다.

세계의 날이든 한국의 날이든 무슨 상관 있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책을 보자는 것이겠지요. 그것도, 책을 ‘사서’ 보자는 것이겠지요. 작가가 살 수 있어야 출판사도, 독자도 살 수 있는 것이니까요.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우리는 이미 ‘출판 생태계’의 한 축에 들어와 있습니다. 책임과 권리가 비장하게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준공식 참석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국민의힘, 동대문구1)이 22일 청량중학교(동대문구 왕산로 301)에서 열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민간투자사업(BTL) 준공식’에 참석했다. 청량중학교(교장 박태인)는 1951년 개교 후 70여년만인 지난 2021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대상학교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교육과정 변화와 학생들의 요구 등을 통한 창의적인 설계를 반영하여 2023년 7월~2025년 7월 약 2년에 걸쳐 교사동 신축,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 등 약 1만 3246.28㎡ 규모로 공사를 준공하게 됐다. 이날 준공식에는 서울시의회 이병윤 교통위원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정근식 교육감, 이필형 동대문구청장과 청량중 교장 및 학부모, 학생, BTL 시행사 등이 참석했으며 준공건물 시설탐방, 준공식, 테이프 커팅식 등 기념행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 위원장은 준공식 축사를 통해 “서울시 최초로 추진된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BTL 사업 공사 과정에서 교장 선생님 이하 교직원, 학생, 학부모 협조 등을 통해 사업이 원만히 마무리됐다는 점에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서울시의회 차원에서도 동대문구의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
thumbnail -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준공식 참석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4-2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