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농악단 부활, 신명나는 춤판

女농악단 부활, 신명나는 춤판

입력 2014-09-15 00:00
수정 2014-09-15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희단 팔산대’ 3년간 합숙…18~21일 국립극장서 선봬

1960~70년대 전국을 풍미했던 여성 농악단이 부활한다.

여성 농악단의 출발은 1957년 봄 남원국악원에서 15~20세 여성들로 꾸린 악단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춘향여성농악단, 전북여성농악단, 정읍여성농악단 등 다수의 단체가 생겨나며 흥행 열풍을 일으켰다. 하지만 영화, TV 등 새로운 오락거리에 밀려 1979년 호남여성농악단의 해단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갔다.

‘춤의 비밀결사대’라 할 만한 이들의 신명나는 춤판, 굿판을 복원하는 무대가 오는 18~21일 국립극장 KB하늘극장에서 펼쳐진다. 판소리, 무용, 기악 등 가무악에 두루 능통한 춤꾼들이 모여 2011년 결성한 연희단 팔산대의 ‘무풍’(舞風)이다. 지난 3년간 합숙하며 내공을 쌓은 이들은 “춤은 의상치레가 아닌 근육치레”라는 김운태(채상소고춤의 명인)의 지침 아래 공을 차며 체력을 길렀다. 공의 향방에 따라 변하는 춤, 관객의 박수를 좇아 조율하는 춤의 즉흥을 몸으로 익힌 셈이다. 2012년 여수엑스포 전통마당에서 첫선을 보이며 팔산대 열풍을 일으킨 이들은 영국, 스페인, 터키, 프랑스, 이탈리아 등 해외 무대에서도 극찬을 받았다.

이번 공연에서는 안에서는 불꽃 튀는 가락이 번지고 밖에서는 바람 같은 회전이 계속되는 ‘오채질굿’, 꽹과리 가락으로 질주하는 상쇠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감아 들어가고 풀고 나오는 ‘오방진’, 장판에 콩 쏟아지듯 춤과 가락이 신명나게 튀어오르는 ‘설장구춤’ 등 가무악일체의 한 판이 벌어진다. 1만 5000~3만원. 1644-8609.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9-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