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금융시대/로버트 실러 지음/노지양·조윤정 옮김/알에이치코리아/456쪽/1만 7000원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오늘날 우리는 금융자본주의라는 세계 질서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금융자본주의는 여러 금융기관들이 이끌어 가는 경제 시스템을 말한다. 그 시스템은 지금 잘 작동되고 있을까. 경제위기로 금융에 대한 대중의 분노는 현재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다. 경제위기를 촉발시킨 주된 원인이 금융업계의 탐욕과 무책임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은 금융위기의 책임자들을 감옥으로 보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대표적인 예로 2008년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은 금융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 나라의 금융위기가 전 세계에 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일깨워 주었다. 또한 2011년 미국에서 시작된 ‘월스트리트를 점령하라’ 시위 운동은 전 세계 80여개국으로 확산됐다. 이 사건은 결국 일단락됐지만 비난 여론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금융’과 ‘좋은 사회’를 어떻게 연결해야 할까.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는 신간 ‘새로운 금융시대’를 통해 ‘금융’과 ‘좋은 사회’라는, 결코 양립하기 어려운 두 화두를 설득력 있게 풀어 냈다. 금융은 결코 돈을 뺏는 약탈자가 아니며 인류문명을 진보시킨 주체이고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시선으로 접근한다. 또한 금융은 고질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이 만든 발명품이고 아직 미완성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어차피 써야 한다면 제대로 된 발명품을 만들어 쓰는 게 가장 실리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현대 사회의 발전을 위한 금융의 역할, 즉 금융기관 종사자뿐만 아니라 정책 당국자, 경제학자, 그리고 일반인들에게 금융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고 금융이 올바르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지 못하고 넘어가는 금융 현상의 본질, 그리고 금융의 혁신과 개인 투자, 세계 경제의 흐름을 바꿀 금융의 미래 등을 저자 특유의 통찰력으로 세심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11-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