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약속하지 않아도 됐다. 동네 공터에만 나가면 어울려 놀 친구들이 그득했다. 딱지치기, 비석치기, 술래잡기, 얼음 땡 등을 하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어스름이 깔리면 “저녁 먹으라”는 엄마들의 부름에 일제히 흩어지고 다음날 또 옹기종기 모이는 게 ‘당연한’ 시절이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만화가 강풀의 두 번째 그림책 ‘얼음 땡!’은 그 아련하고 따스한 시절을 불러낸다. 색연필화처럼 잔잔하고 자연스럽게 채색된 아빠의 어린 시절에는 정겹고 장난기 어린 친구들로 빈틈이 없다. 눈썰미가 있는 독자라면 하나 눈치챌 수 있는 게 있다. ‘깍두기는 있어도 왕따는 없다’는 것.
이날도 동네 공터에서는 얼음 땡 놀이가 한창이다. 술래에 쫓겨 막다른 골목에 다다라 더 이상 도망칠 곳이 없자 아이는 외친다. “얼음!” 후미진 골목에 우두커니 서서 찾아줄 친구를 기다리는 마음은 왠지 서럽고 막막하다. 저녁 노을이 골목 안까지 붉게 물들이고 어둠이 깔리자 아이의 얼굴엔 눈물, 콧물이 일제히 터지기 직전이다. 그때 골목 끝에서 보이는 작은 형체. 웃으며 다가온 아이가 얼음이 되고만 아이를 툭 치며 말한다. ‘땡!’ 잊고 있었던 깍두기였다.
깍두기는 모두 어울려 노는 덴 더없이 좋은 아이디어였다. 한 사람 몫을 해내기에 조금 모자라거나 약한 친구들을 아무 팀에나 끼워주며 ‘깍두기’라 이름 붙였다. 19개월 된 딸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를 책에 담았다는 작가는 “우리 주변에 소중하지 않은 사람은 한 명도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주인공이 꼭 주인공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존재인 깍두기가 누군가에겐 주인공이 될 수도 있음을, 그래서 모든 인연을 다 귀히 여겨야 한다는 것을, 아빠의 어린 시절은 넌지시 일러준다. 4세부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7-1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