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은 시계의 긴바늘이 한 번 움직이고, 가장 얇은 바늘은 60번 움직이는 시간이다. 어른들은 안다. 1분이 얼마나 긴 시간이 될 수 있는지 혹은 얼마나 짧은 시간으로 끝날 수도 있는지. 하지만 아이들에게 1분이라는 시간은 이해하기 어려운 관념이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 책은 1분이라는 시간의 존재를, 그리고 우리가 느끼는 감정에 따라 시간의 길이도 다르게 느껴지는 ‘시간과 감정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책으로 풀어냈다. 시계부터 우리의 일생까지 시간과 행복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다룬 그림책인 셈이다.
이야기 속 아이는 사랑스럽다. 단순한 선으로 마치 아이가 그린 것 같은 생김새이지만 표현과 감정은 풍부하다. 주인공 아이는 1분 동안 강아지를 꼭 껴안아 주고, 작은 새 한 마리에게 인사를 건넨다. 누군가에게 다정한 마음을 표현하는 데 1분이면 충분하다고 작가는 슬며시 들려준다. 그림책도 종이의 질감과 촉감이 아이들에게 그대로 전해지도록 코팅을 하지 않았다. 빛과 공기에 종이가 바랠수록 종이의 멋도 깊어져 그림책에 시간이 새겨지는 걸 느낄 수 있다.
아이와 책을 함께 읽으면서 꼭 지켜야 할 시간과 하고 싶은 대로 마음껏 보내도 되는 시간을 아이들 스스로 구별할 수 있도록 풀어 나가기에 좋다. 3세 이상.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8-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